아프리카, 네이버(치지직), 트위치 이러한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사용하는 채팅서버를 위한 웹소캣 통신에 대해서 알아보고 실제로 구현을 하는 강의 입니다.
5월 16일 바로 내일 2탄 강의가 오픈 할 예정입니다.
안녕하세요. 미리 말씀드렸던 것처럼, 치지직과 같은 스트리밍 플랫폼에서 사용가능한 채팅 TPS처리라는 주제에 대해 2탄 강의가 5월 16일 오픈 예정입니다!!
항상 제 강의 방향성과 맞게 여러분들이 쉽게 접하시기 어려운 아키텍처나 프로토콜을 사용하였고, 이번에는 서비스적인 측면도 담겨있지만, 추가로 무중단 배포를 어떤식으로 구현하는지 제 개인적인 생각을 담아서 강의를 준비해 보았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 좋은 방향성인지 나쁜 방향성인지는 한번 스스로 고민해 보시면 좋을 꺼 같습니다. 강의에서도 아키텍처에 대해서 설명을 드리고 있고, 이러한 아키텍처의 단점 및 장점을 함께 공유해 보시면 좋을꺼같아요.
2탄에 대해서 간략하게 설명을 드리자면, 다음과 같은 큰 타이틀을 가지고 있습니다.
Local 환경에서 Event 처리를 위한 Kafka 설정 및 구동하기
MySQL을 통한 추가적인 채팅 TPS 데이터 처리하기
Controller Tower 서버를 구축하여 사용가능한 Socket 서버 리스트 관리하기
구동시킨 Kafka를 통해 서버간 Pub/Sub 이벤트 처리하기
채팅 방 관리를 위한, MySQL 추가적인 Schema 작성하기
많은 분들이 제 강의를 보고 개발에 대한 재미를 느끼시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