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2K
·
수정됨
0
깃허브에 올려주신 react query의 부분을 보고 공부하는 과정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로그인 정보를 가져오기 위한
const { data: me } = useQuery<User>('user', loadMyInfoAPI);
useQuery를 이용해 캐싱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과,
리덕스, 리코일의 전역관리 상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로그인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중에 어떠한 방법이 나은 방향인지 궁금합니다.
저의 경우는 전역 상태로 관리해, 데이터를 한 번만 가져와서 여러 곳에서 사용할 수 있어서 코드의 중복을 줄일 수있다고 생각하였는데 왜 useQuery를 이용해 캐싱한 데이터를 가져오는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취향차이라고 생각합니다. 로그인 유지에 있어 리액트쿼리처럼 캐싱을 활용할지 아니면 리덕스처럼 메모리에 로그인 정보를 저장할지의 선택입니다.
리액트쿼리도 사실상 한 번만 가져와서 여러 곳에서 사용하는 점은 동일합니다. 메모리가 아니라 캐시에서 가져온다는 점만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캐시도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으므로 사실상 같을 수도 있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