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fefefefe님의 프로필 이미지
fefefefe

작성한 질문수

[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webpack 관련 질문 좀 드리려고 합니다.

작성

·

245

·

수정됨

0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 강의와 관련없는 질문이 인거 같아서 stack overflow에 물어보았으나 아직 답변이 없네요. webpack과 babel 환경에 대해서 몇일에 걸쳐서 내용을 보고 있으나 해결되지 않아 조언을 조금 구하고자 합니다..

dev와 production 환경을 유심히 살펴보다 이상한점이 있어서 해결을 못하고 있습니다.

답을 원하는것이 아니라.. 어디를 좀 더 유심히 봐야 할지만 지적만 좀 해주신 다면 그 부분에서 좀 더 내용을 찾아보고 싶습니다.

  1. webpack vs webpack-internal 의 차이점을 찾아보았으나 명확하게 이건 이럴때 나오는 의미다 라는 뜻 나와 있는 문서가 없는거 같습니다. 혹시 아시면 답변 좀 부탁드리겠습니다.

     

  1. 하나는 webpack + babel의 환경을 env 파일만 변경해서 빌드를 했으나 env.dev는 babel이 하위 문법으로 전환을 했고 env.production은 es6 문법을 그대로 사용하고 있습니다. 도대체 왜 차이가 나는지 전혀 이해가 되지 않아서 질문을 드리려합니다.

2번의 경우 babel.config.js 설정도 명확하게 했고 webpack.config.js 설정도 env 환경이 local이 아닌경우에는 dev나 prd 환경이 똑같은 webpack 빌드를 타게했고 package.json의 명령어만 다른데 불구하고 다른 환경이 나오는 이유를 전혀 모르겠습니다..

아래는 사진을 첨부해두었습니다.

혹시나 코드를 잠깐 봐주실 수 있다면..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74851479/vue-how-to-apply-babel-well-depending-on-the-environment

제가 올린 질문인데 한번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필요한 코드만 요약했습니다.

 

dev

enter image description here

prodcution

enter image description here

 

답변 1

0

제로초(조현영)님의 프로필 이미지
제로초(조현영)
지식공유자

제가 봤을 때는 .env는 영향이 없고 vue-cli-service의 build_stage와 build_production 명령어의 차이인 것 같은데요.

--mode가 무슨 역할을 하는지 파악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또한 .env 두 개를 둘 다 production으로 만들어보세요. 그러면 .env가 문제인지 vue-cli-service의 mode가 문제인지 알 수 있겠죠.

fefefefe님의 프로필 이미지
fefefefe
질문자

늦은시간 답변감사합니다. 둘다 똑같이 해봐야겠네요.

이생각은 못해본거같습니다.

fefefefe님의 프로필 이미지
fefefefe
질문자

문제 해결 했습니다.

NODE_ENV 가 production일때 이런 증상이 나오더라고요.. 근데 왜 그런지 어디가 문제인지 알수 없다보니 잘 파악은 안됩니다.

내용은 더 찾아봐야겠지만 해결의 실마리에 도움이 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fefefefe님의 프로필 이미지
fefefefe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