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seokki kwon님의 프로필 이미지
seokki kwon

작성한 질문수

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JWT와 로그인 서비스 & 순환 참조 모듈

의존성주입 제가 이해한게 맞는걸까요?

작성

·

614

1

  1. module에 provider 는 공급자를 주입하는 것이며 서비스,레파지토리 등등을 사용 가능하게끔 의존성을 주입해줌

2.1번을 진행할 경우 해당 공급자에 @Injectable 데코레이터가 선언되어 있어야 한다

3.cats 모듈에 cats 레파지토리가 export에 선언되었고 그것은 퍼블릭 상태라는것을 의미하기에 auth 모듈에서 cats 모듈을 import 한다면 당연하게도 cats 레파지토리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렇다면 import를 하면 공급자 주입이 되는것이며

Provider에도 선언을 하면 공급자 주입이 되는것이 맞는건가요?

답변 1

1

안녕하세요 :)
답변 드립니다. 더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언제든지 답글 달아주세요!

의존성 주입(DI)와 제어의 역전(IoC)에 대해 이해를 하고 싶으시다면, 자바 진영의 백엔드 프레임워크 Spring에 대해 공부해보시는 것을추천드립니다. 왜냐하면, NestJS의 이런 구조가 Spring에 있는 객체지향설계 부분들을 많이 가져왔기 때문입니다.
혹은, NodeJS 진영의 Angular의 문법도 비슷한 부분이 많기 때문에 이도 공부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

1. module에 provider는 공급자를 주입하는 것이며 서비스,레파지토리 등등을 사용 가능하게끔 의존성을 주입해줌
-> 맞습니다. module을 통해서 공급자를 등록하는 것입니다. NestJS에는 provider들의 관계하는 "IoC 컨테이너"가 있고 이 친구가 module 끼리 관계를 이어줍니다.

2. 1번을 진행할 경우 해당 공급자에 @Injectable 데코레이터가 선언되어 있어야 한다.
-> 맞습니다. NestJS는 @Injectable가 붙은 class 들을 인스턴스화 해야한다고 생각합니다. "IoC 컨테이너"가 인스턴스화 합니다. (싱글턴으로)

3. cats 모듈에 cats 레파지토리가 export에 선언되었고 그것은 퍼블릭 상태라는것을 의미하기에 auth 모듈에서 cats 모듈을 import 한다면 당연하게도 cats 레파지토리가 사용가능한 상태가 된다. 그렇다면 import를 하면 공급자 주입이 되는것이며 Provider에도 선언을 하면 공급자 주입이 되는것이 맞는건가요?
-> 말이 잘 정리가 안돼서 제가 이해를 잘 못하겠네요..ㅠㅠ 정확히는 NestJS에서는 IoC 컨테이너가 있고 Injectable 하는 순간 여기에 등록됩니다. import 를 할 때마다 의존성 주입이 되는 것이 아니라, import 를 하면 그저 컨테이너에 올라간 인스턴스들에 접근이 가능해지는 것 뿐입니다. 1번에서 얘기한 관계를 서로 만들어주는 녀석이 관계를 이어주는 것 이라고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seokki kwon님의 프로필 이미지
seokki kwo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