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3회 작업형 1유형 전처리 문제
작성
·
251
0
안녕하세요! 실기 기출 3회 작업형 1유형 1번에서, 상위 70%를 뽑을 때 round 함수를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val <- round(nrow(df_na)*0.7) 이부분이요!
감사합니다!
답변 1
0
companionclub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아래처럼 괄호를 빼시고 구분동작으로 실행하시면 쉽게 이해하실 것 같습니다.
nrow(df_na) : 상위 70%를 뽑기위해서 전체 행의 갯수를 구합니다.
nrow(df_na)*0.7 : 행의 갯수에 0.7을 곱해서 70%의 갯수를 실제로 구합니다.
round(nrow(df_na)*0.7) : 소수점자리가 나오면 반올림해서 정수(소수자리없앰)로 만듭니다.
즉 round는 소수첫번째 자리에서 반올림해서 정수로 만드는 함수입니다.
정수로 만들어야 70%까지 구할때 인덱싱을 할 수 있습니다. 인덱싱은 정수로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