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99
0
안녕하세요 영한님. H2설정 헤매던거 질문드렸는데 답변해주신 내용으로 잘 해결했습니다. 다시 감사드립니다.질문이 더 생겼는데요,
1. 각 메소드마다 리턴 시 어떤 dto성 객체에 담아 반환하는 것이랑 지금 강의처럼 쌩?으로 반환하는 것의 차이가 무엇인지
2. 목록을 가져오는 경우는 왜 Optional로 감싼 List가 아닌 쌩 List로 반환하는지
이번 강의를 같이 쳐보면서 궁금한 것이, 각 메소드마다 리턴을 할 때 어떠한 dto성 객체에 담아서 반환하는 것이랑 지금 강의처럼 쌩?으로 반환하는 것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영한님께서 SK에서 강의하신 JPA강의에서는 이렇게 쌩으로 리턴하면 실무에서 크게 혼난다 라고 말씀하신 기억이 있어서요. 제가 유추한 바로는 반환값의 타입을 한눈에 파악하기 위함으로 생각해봤지만, 메서드 시그니처에 반환타입이 명시돼있으니까 상관없을 것 같더라구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동환님
1. JPA에서 리포지토리가 엔티티를 반환하는 것은 당연합니다^^ SK강의에서 이야기한 부분은 컨트롤러에서 JPA 엔티티를 직접 반환하면 안된다는 부분이었습니다. 이렇게 되면 엔티티를 변경할 때 API 스펙도 함께 변하는 위험이 있습니다. 추가로 이 부분은 뒤에 JPA 강의에서 정말 자세히 설명드립니다. ㅎㅎ
2. Optional은 없다는 것을 표현하는 것인데요. List의 경우 내부에 데이터가 없는 것을 충분히 잘 표현할 수 있기 때문에 Optional로 감싸는 것이 크게 효용이 없습니다. 대신에 빈 리스트를 반환하면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