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커뮤니티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prosaic lee님의 프로필 이미지
prosaic lee

작성한 질문수

timedelta와 datetime

작성

·

6

0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https://raw.githubusercontent.com/lovedlim/bigdata_analyst_cert_v2/refs/heads/main/part1/ch3/delivery_time.csv")
df.head()

df['주문시간'] = pd.to_datetime(df['주문시간'])
df['실제도착시간'] = pd.to_datetime(df['실제도착시간'])
df.info()
df.head()

df['시간'] = df['주문시간'].dt.hour
cond1 = df['시간'] >= 10
cond2 = df['시간'] < 13
df = df[cond1&cond2]
df.head()

# 속도(km/h) = 거리(km) / 시간(h)
df['배달시간'] = df['실제도착시간'] - df['주문시간']
df['배달시간'] = df['배달시간'].dt.total_seconds() / 60 / 60
df['속도'] = df['거리'] / df['배달시간']
df.head()
df['속도'] > 50
print(sum(df['속도'] > 50))

여기서 베달시간을 구할 때 배달시간의 데이터 타입이 타임델타과 되어서 dt를 적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답변

답변을 기다리고 있는 질문이에요
첫번째 답변을 남겨보세요!
prosaic lee님의 프로필 이미지
prosaic lee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