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8
·
수정됨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취준생 조돌이입니다! _ _)
최근 알고리즘 공부를 위해서 수강했고, 재밌게 C++ 교안을 읽어보면서 공부하는데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2가지 질문드립니다!
#1. 암시적 형변환
문서 : 알고리즘교안.pdf
페이지 : 64
해당 페이지에서
“~. vector의 size()라는 메서드는 unsigned int를 반환합니다. ~”
라고 적혀있습니다. 아래는 예시 코드입니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main(){
vector<int> a = {1, 2, 3};
cout << a.size() - 10 << '\\n'; // 18446744073709551609
return 0;
}
교안에서는 v.size()를 unsigned int 타입으로 설명하고 있습니다. 18446744073709551609 값은 2^64 범위가 되어야 나오는 값으로 알고 있는데, 그렇다면 v.size() 타입은 unsigned int 타입이 아닌 unsigned long 타입이 되어야 하는거 아닌가? 궁금합니다!
#2. vector (2차원 배열)
문서 : 알고리즘교안.pdf
페이지 : 113
#include<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vector<vector<int>> v;
vector<vector<int>> v2(10, vector<int>(10, 0));
vector<int> v3[10];
int main(){
for(int i = 0; i < 10; i++){
vector<int> temp;
v.push_back(temp);
}
return 0;
}
예시 코드에서 v3 변수는 1차원 벡터로 선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vector<int> v3[10];
하지만 아래 그림에서 v3 변수는 {{}, {}, …, {}} 빈 벡터를 10개가진 2차원배열(벡터)로 설명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런 경우에 위 코드에서
vector<vector<int>> v3[10];
처럼 코드가 작성되어야 하는게 아닌가? 궁금합니다!
답변 1
1
안녕하세요 ㅎㅎ
1번
맞습니다. ㅎㅎ ㅠ 저부분은 틀린 부분입니다.
참고로 vector의 size() 메서드는 size_t 타입(부호 없는 정수형) 을 반환합니다. 이 타입은 일반적으로 64비트 환경에서는 unsigned long 또는 unsigned long long으로 정의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v.size() - 10 과 같이 음수가 될 수 있는 연산을 수행하면, 결과가 음수가 아닌 매우 큰 양수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이는 size_t가 부호 없는 정수(음수가 없는 정수)이기 때문에, 음수 결과가 언더플로우 되기 때문입니다.
즉, size()의 반환값을 이용해 뺄셈 등의 연산을 할 때는 부호 있는 정수로 변환하거나 조건문으로 음수 결과를 방지해야 합니다.
라고 수정될 예정입니다.
감사합니다.ㅎㅎ
2번
아닙니다.
예시 코드에서 v3 변수는 1차원 벡터로 선언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 저 배열은 벡터 10개를 원소로 가지는 배열 이자 2차원 벡터처럼 쓸 수 있지만 실제로는 정적 배열 형태를 띈 배열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1번,2번 피드백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_ _)
2번에서 배열이라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네요.. ㅎㅎ 확인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