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6
0
안녕하세요. 강의를 통해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의 개념 잘 공부하고 있습니다. 궁금한 점이 있는데 예를 들어 2차원 배열을 공부하고 난 뒤 2차원 배열과 관련되어 있다는 코딩 테스트 문제들을 봐도 어떻게 풀어야 할 지 감이 잘 오지 않습니다. 코딩테스트는 개념을 익힌 후 공부해야 할 별개의 분야로 봐야 하는 건지 아니면 개념을 더 확실히 익히지 못해서 그런 건지 초보자로써 학습 순서나 방향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답변 1
0
그건 개념을 확실히 이해하지 못해서라기보다는, 그 개념을 실제 문제에 적용하는 경험이 아직 부족해서 그렇습니다. 자료구조나 알고리즘 같은 개념 학습은 ‘도구’를 익히는 과정이고, 코딩 테스트는 그 도구들을 가지고 문제를 해결하는 ‘훈련’에 가깝습니다.
예를 들어 2차원 배열을 배웠다고 해도, 그걸로 어떤 문제를 어떻게 풀 수 있는지는 직접 여러 문제를 풀어보면서 감을 잡아야 합니다. 처음에는 “이게 왜 2차원 배열 문제지?” 싶을 때가 많지만, 비슷한 유형의 문제를 여러 번 다뤄보면 점점 패턴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학습 순서는 보통 개념을 한 번 훑고, 간단한 예제 코드를 직접 작성해 본 다음, 관련된 쉬운 문제들을 풀면서 “아, 이 개념이 이런 식으로 쓰이는구나” 하는 감각을 익히는 게 좋습니다. 그런 다음 난이도를 점점 올려가면 됩니다.
즉, 코딩 테스트는 개념 공부의 ‘다음 단계’로 보는 게 자연스럽습니다. 개념을 다 배우고 나서 시작하는 별개의 분야라기보다, 개념을 실제로 체득하고 응용하기 위한 훈련 과정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