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11
0
안녕하세요. 열심히 듣고있습니다.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아직은 질문이 없지만 향로 추석 챌린지로 인해 한가지를 여쭤보려고 합니다.
AWS의 수많은 서비스를 현재 강의를 통해 보고 있으며 생각보다 많은 서비스는 서버리스로 운영되는 AWS 자체 관리형 이라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 [현재 32강까지 수강했습니다.]
그렇다면 앞으로 미래에 2년에서 5년 정도 흐른다면 IaaS로 구성된는 서비스보다는 서버리스 형태의 SaaS가 더 많이 출시 될것이라고 보시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인프라를 코드로 구성하며 AWS가 서비스를 하고 있는데 온-프레미스 환경의 엔지니어의 경우에는 앞으로 준비해야 하는 것이 무엇일지 알고싶습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현재도 클라우드 기반의 서비스들은 IaaS보다는 PaaS나 SaaS 서비스가 더 많습니다.
AWS에서도 EC2 서비스정도가 IaaS이고 다른 서비스들은 PaaS또는 SaaS서비스에 가깝습니다.
시간이 지날 수록 PaaS도 SaaS 서비스 형태로 출시가 되고 SaaS도 AWS Full Managed SaaS 서비스들이 더 많이 출시될 거라 보는게 맞겠습니다.
온-프레미스 환경의 엔지니어시면 서버나 네트워크 등의 IT 인프라를 직접 관리하시는 것으로 이해되는데 이 경험은 오히려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SaaS는 사용자 관점에서 인프라를 관리하지 않는 것이지 실제로 클라우드 회사의 온-프레미스 데이터 센터에서 서버, 네트워크 등을 운영 관리 하고 있고 이 분야의 IT엔지니어의 기술을 요구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회가 되시면 계속 온-프레미스 IT 관련 경험을 쌓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클라우드 운영자 관점에서 SaaS플랫폼을 사용한다고 해도 CloudFormation등을 사용한 서비스를 코드로 배포하는 능력이나 CloudWatch등을 이용한 서비스 모니터링 관련 기술 및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보안, 네트워크 등에 대한 기술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라 생각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