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6
답변 1
0
도리루 님 안녕하세요 김재성입니다.
제가 개발 업무를 진행하는 것은 아니지만 이 역시 '문제 해결' 관점으로 접근해 본다면 어떨까 싶습니다.
코딩을 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한다는 것은 '어떤 기능을 작동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정의 한다면, 그 안에는 다양한 형태의 구조가 존재하겠죠. 함수를 쓰고, API를 활용해서 결국 그 모인 코드의 집단이 내가 원하는 기능이 동작하도록 하는 게 바로 도리루 님께서 하시는 업무이실거라 생각이 듭니다.
만약 이런 상황에서 AI를 활용한다면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다음의 세가지 정도로 접근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합니다.
기능을 구현하고 싶은데 도저히 코드로 작성이 어려울 때, 원하는 기능을 프롬프트로 작성하여 AI에게 코드를 작성하도록 하고 (흔히 말하는 바이브 코딩이죠?) 이를 인간이 검수하여 완성 짓는 방법
내가 작성한 코드를 더 깔끔하게 다듬거나 오류가 있는데 발견하는 시간이 오래 걸릴 경우 코드를 입력 후 AI에게 검수하도록 하는 방법
내가 작성한 코드를 더 나은 방향으로 작성할 수 있는지 피드백을 받고 나의 원 코드를 개선하는 방법
이런 접근 법은 모두 '원하는 기능을 동작하게 한다'는 원 정의에 부합하는 활동이 됩니다. 어떤 기능을 작동하게 하려면 아래의 세가지 중 한가지 경우로 수렴될 가능성이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없는 것을 만들거나
있지만 완전히 작동하지 않거나 부분적으로만 작동하는 것을 보완하거나
현재도 기능 상 작동은 하지만 더 나은 방안을 찾기 위해
어느정도 감을 잡는 데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추가로, 제가 다양한 LLM을 활용하는 것은 강의를 보셨다 시피 맞습니다. 저는 특정 기능 중에서 제가 유료와 무료로 사용하는 것들이 있고, 필요하다면 유료 결제 모델을 추가하거나 변경해가며 사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매번 나오는 LLM 관련 발표에서 제가 필요로 하는 기능에 대한 벤치 마크 결과를 기반으로 그 성능이 가장 앞선다는 평가를 받는 모델이 나오면 테스트 해 본 뒤, 제가 사용하기에도 벤치 마크 결과와 같이 더 나은 성능을 보일 경우 변경합니다.
예를 들면,
표현을 다듬거나 논리적 흐름을 다듬는 데는 chatGPT를 활용 중입니다.
정확한 출처를 기반으로 리서치가 필요할 경우 Perplexity를 활용합니다. 다만, 현재는 제가 chatGPT를 유료 구독 하고 있기 때문에 심층 리서치 기능을 우선 사용 후, 중요한 자료라면 Perplexity에 chatGPT의 결과물을 워드 파일로 제공 후 사실 여부를 검증시키고 저 역시도 주요한 자료는 실제 존재하는지 들어가서 확인합니다.
이미지 생성의 경우 제미나이의 나노바나나를 활용합니다.
이들은 현재 제가 쓰고 있는 버전일 뿐이고요, 이후 모델의 성능이 달라질 때 마다 얼마든지 바뀔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꾸준히 AI 업체들의 서비스 프로덕트 업데이트에 대해서 소식을 지켜 보는 중이고요.
마지막으로, 어떤 LLM이 가장 코딩에 적합할까? 라는 질문을 주셨는데요, 이를 경험상으로 주변 엔지니어들이 어떤 것들을 쓰는지에 대해 말씀 드린다면 클로드 가 정답일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설령 현재 시점에서 맞다고 하더라도 언제든 바뀔 수 있는 내용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오히려 저는 이 질문을 이번 강의를 들으신 분이라면 어떻게 접근할까 다시 한 번 질문드려 보고 싶은데요.
어떤 결과물을 만들 때 저는 데이터, 리서치 결과물, 전문가 인터뷰를 활용한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그렇다면 LLM의 학습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저 세가지 중 어떤 것일까요? 저는 '학습 데이터'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누가 좋은 데이터를 가장 많이 가지고 있을까요? 다시 말 해, 범위를 좁혀 '누가 가장 양질의 코드를 많이 보유 하고 있을까요?' 현존하는 기업 중에서는 구글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렇다면 구글의 제미나이가 코딩에 뛰어난 성능을 현재 보유하고 있거나, 앞으로는 코딩 관련 기능이 빠르게 발전할 것임을 가설로 설정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구글 내부 엔지니어를 인터뷰 했던 적이 있는데요, 구글의 제미나이가 가장 강점을 보이는 부분은 코딩이라고 구글 내에서 이야기 하고 실제로 활용하고 있다고 합니다. (사실 저는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서 가설을 세우고 검증을 한 상태였던거죠.) 그러나, 그 외 엔지니어들이 코딩에 클로드를 많이 활용한다고 했으니 저라면, 이 두가지의 모델을 주로 활용해 보며 동일 프롬프트를 입력했을 때 더 나에게 잘 맞고 더 나은 모델이 있다면 그 모델을 유료 구독하여 활용 할 것 같습니다.
답변이 길어졌네요.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주변에도 강의 많이 알려주세요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