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pcjin0707님의 프로필 이미지
pcjin0707

작성한 질문수

맥킨지 출신 김재성의 AI로 앞서가는 문제 해결력 & 리서치 전략

7-5. Action Plan과 로드맵의 이해 및 작성

mece 연습 문의

작성

·

15

1

저는 제조업을 베이스로하는 대기업에서 엔지니어로 근무 중 인데요, 가장 어려운 것이 개인의 전문 분야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mece하는게 가장 어려운 것 같습니다 객관적인 시각으로 봐야하는데 경험이 앞서다 보니 어려운점이 많은 것 같습니다. 그렇다 보니 예시를 찾아보게 되는데 범용적인 문제들에 대한 예시들은 참 많은데 현업에서의 영감을 받기에는 부적한 것 같습니다.

현업에서 실질적인 연습은 어떤식으로 해보면 효과적일까요? 정답은 없겠지만 많이 부딪혀 보는게 최선일지요? 컨설턴트들은 어떻게 트레이닝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1

0

Jaesung Kim님의 프로필 이미지
Jaesung Kim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 먼저, 강의 수강해 주셔서 감사드립니다.

 

MECE한 것을 보는 이유는 큰 건을 놓치지 않고 모두 살펴보되, 겹치는 개념을 만들지 않는 것에 있습니다. 특히, ‘모든 것을 빠지지 않고 보는 것’ 이 가장 중요한 포인트 입니다.

 

강의에서 말씀 드린 것 처럼 처음에는 mece 분류가 그리 쉽지 않습니다. 그럴 경우, 일단 아시는 요소를 나열식으로 분류한 다음 그 개념들을 Grouping 하시고, 더 비어있는 카테고리에 빠뜨린 개념이 있는지 생각하며 채워 가는 형태로 연습해 보시면 좋습니다.

 

AI를 활용 하실수도 있습니다. 나열식으로 작성하신 요소들을 프롬프트로 입력한 후, 그 요소들을 mece하게 분류해 달라고 요청하며 상위 카테고리를 정해달라+빠뜨린 내용이 있다면 추가해달라고 하면 됩니다.

 

이 방법으로 연습하신 뒤, 점차 요소를 먼저 적고 그룹핑하는 것에서 반대로 구조를 나누고 요소를 채워가는 방식으로 연습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 역시 AI에게 구조를 물어볼 수 있고요, 다만 제가 강의에서 누차 강조 드렸듯 먼저 스스로 연습을 해보는 게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사실, 컨설팅사에서는 mece개념을 알려는 주지만 별도의 훈련을 시켜주거나 교육을 반복하지는 않습니다. 똑똑한 사람들을 모아놓고 부정적 피드백을 주면 알아서 자가발전 + 주변 자료 학습을 통해 해결해버리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더 많은 이야기나 인사이트는 이 강의 수강생만을 위한 오픈채팅방에서 말씀 나누어도 좋을듯 합니다. (오픈채팅방 입장 방법은 강의 Section 1을 참고해 주세요)

 

답변이 도움 되셨길 빕니다. 감사합니다 😊

 

김재성 드림

pcjin0707님의 프로필 이미지
pcjin0707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