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30
0
안녕하세요 남박사님! 주말 잘 보내고 계신가요?
개인 일정이 있어 이제서야 9강,10강을 듣고있는데요,
9강까지는 정말 잘 따라가고있었는데
10강 초반에서 많이 막히더라구요..
결국 파일을 몇번 지웠다 만들었다 반복하고
9강 말미와 10강 초반 내용을 반복해서 들으며 따라가려고했지만 잘 안되더라구요,
강의 화면과 다르더라도 어떻게해서든 따라가려고했는데요
가장 안되는 부분은
왼쪽 파일부분에
example_usage.py
search_results.json
이런 파일들은 안생기더라구요..?
이럴땐 수동으로 파일은 만들어달라고 할지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 여쭙습니다!
답변 4
1
안녕하세요, 재유니즘님.
AI를 바이브 코딩은 저랑 똑같이 프롬프트를 입력하더라도 결과가 다를수 밖에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강의 내용과 화면이 똑같을 수가 없습니다. 코드의 내용도 다를 수 있을테구요. 말씀하신 것 처럼 example_usage.py, README.md, search_results.json
파일명을 보고 유추해볼 수 있는데, 이런 파일은 실제 기능 동작에 영향을 주는 파일들이 아니므로 AI 가 생성하고 싶으면 하는거고 아니면 생성하지 않습니다. README.md는 설명서고, example_usage.py는 사용 예시 파일일듯 하고, search_results.json은 검색 결과를 JSON형태로 저장하는 것 같은 파일인데, 모두 테스트를 위한 파일일 뿐입니다. 중요한건 main.py 파일의 기능이 제대로 구현되면 되는 부분입니다. 깃헙에 업로드를 하거나 따로 테스트 용 파일이 필요한 경우라면 직접 하나하나 열거하여 요청을 하셔도 되긴 합니다만 필요 없는 경우라면 전혀 신경쓸 부분은 아닙니다.
0
portainer 화면 입니다.
문제 없는 것 같구요 ㅠㅠ
호스팅케이알도 문제 없는 것 같습니다
마지막 Nginx 도 틀리지않게 한 것 같은데요 ㅠㅠ
다른점이 있다면..?
Proxy Hosts 중에서 api.aiproject.kr 여기만 사이트에 연결할 수 없다고 하긴합니다..
아니면 아예 비쥬얼스튜디오코드에서 코드생성부터 다시 해볼까요?
0
늦은 시간에 죄송합니다 ㅠㅠ
10강 두번째 질문입니다!
잘 따라가고있었는데 마지막에서 잘 안되더라구요 ㅠㅠ
마지막 JSON 코드를 입력했는데
에러 디테일이라고 이렇게 나오더라구요..?
{
"errorMessage": "write EPROTO 28421299E67F0000:error:0A000458:SSL routines:ssl3_read_bytes:tlsv1 unrecognized name:../deps/openssl/openssl/ssl/record/rec_layer_s3.c:1605:SSL alert number 112\n",
"errorDetails": {
"rawErrorMessage": [
"write EPROTO 28421299E67F0000:error:0A000458:SSL routines:ssl3_read_bytes:tlsv1 unrecognized name:../deps/openssl/openssl/ssl/record/rec_layer_s3.c:1605:SSL alert number 112\n"
],
"httpCode": "EPROTO"
},
"n8nDetails": {
"nodeName": "HTTP Request",
"nodeType": "n8n-nodes-base.httpRequest",
"nodeVersion": 4.2,
"itemIndex": 0,
"time": "2025. 9. 9. 오전 12:59:48",
"n8nVersion": "1.108.1 (Self Hosted)",
"binaryDataMode": "filesystem",
"stackTrace": [
"NodeApiError: write EPROTO 28421299E67F0000:error:0A000458:SSL routines:ssl3_read_bytes:tlsv1 unrecognized name:../deps/openssl/openssl/ssl/record/rec_layer_s3.c:1605:SSL alert number 112",
"",
" at ExecuteContext.execute (/usr/local/lib/node_modules/n8n/node_modules/.pnpm/n8n-nodes-base@file+packages+nodes-base_@aws-sdk+credential-providers@3.808.0_asn1.js@5_1af219c3f47f2a1223ec4ccec249a974/node_modules/n8n-nodes-base/nodes/HttpRequest/V3/HttpRequestV3.node.ts:780:15)",
" at processTicksAndRejections (node:internal/process/task_queues:105:5)",
" at WorkflowExecute.runNode (/usr/local/lib/node_modules/n8n/node_modules/.pnpm/n8n-core@file+packages+core_@opentelemetry+api@1.9.0_@opentelemetry+sdk-trace-base@1.30_5aee33ef851c7de341eb325c6a25e0ff/node_modules/n8n-core/src/execution-engine/workflow-execute.ts:1212:9)",
" at /usr/local/lib/node_modules/n8n/node_modules/.pnpm/n8n-core@file+packages+core_@opentelemetry+api@1.9.0_@opentelemetry+sdk-trace-base@1.30_5aee33ef851c7de341eb325c6a25e0ff/node_modules/n8n-core/src/execution-engine/workflow-execute.ts:1582:27",
" at /usr/local/lib/node_modules/n8n/node_modules/.pnpm/n8n-core@file+packages+core_@opentelemetry+api@1.9.0_@opentelemetry+sdk-trace-base@1.30_5aee33ef851c7de341eb325c6a25e0ff/node_modules/n8n-core/src/execution-engine/workflow-execute.ts:2158:11"
]
}
}
무엇이 문제였을까요 ?
강의 화면과 제가 다른점은..
JSON body 코드에서..
"results_per_suorce":5
이게 저는 없긴합니다..
이 문제는 일단 HTTP 노드의 URL 부분을 확인해봐야 할듯 한데요?
그리고 강의에서는 올려주신 이미지에서 처럼 JSON Body를 전송하지 않고 위 이미지에서 처럼 Fields 값 형태로 전송하고 query 값은 AI가 입력하게 진행하고 있습니다. 어쨌든 HTTP 노드의 전체 설정값을 모두 확인해야 하고 API 서버 역시 프록시 설정이 제대로 되어있는지 API 요청 수용이 제대로 되고 있는지도 모두 다 확인해봐야 합니다.
nginx proxy manager 의 proxy hosts 에서 api.aiproject.kr 의 stauts가 online 이 아니시라는건가요? 그렇다면 당연이 n8n에서 사용을 못하는 상태가 맞습니다. 코드생성부터 다시 할 필요는 전혀 없습니다. 현재 문제점이 무엇인지 정확히 파악하고 해당 문제를 수습하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습니다. 물론 때론 너무 복잡해서 길을 잃을 수 있는 일은 처음부터 하는게 좋을때도 있긴 합니다만, 현재 문제는 그런 문제는 아닌걸로 보입니다.
일단 문제는 지금 올려주신 스샷을 보면 포르테이너 상으로 api 도커 컨테이너의 포트 매핑이 전혀 되어있지 않습니다.
여기서 설정하신 8833번 포트가 개방이 되어있고 해당 포트로 fastapi 가 동작하고 있어야 하는데 이 부분에서 문제가 생긴걸로 보입니다.
위 그림에서 처럼 해당 포트가 개방되어있어야 합니다. 강의에서 처럼 내부 fastapi는 8000번 포트를 사용하고 있고 이를 외부에서는 8833번 포트로 사용할 수 있게 매핑해놓은 상태가 표시되어야 합니다.
이 부분은 docker-compose.yml 파일등을 참고하시어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docker-compose.yml 파일에 문제가 없다면 포르테이너 Log 를 보고 해당 도커 컨테이너 내부에서 무슨일이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해봐야 할듯 합니다.
로그는 해당 컨테이너의 Quick Actions 메뉴에서 첫번째 아이콘을 클릭하면 해당 도커 컨테이너의 내부 로그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로그에서 Application startup complete. 메세지가 나와서 fastapi 가 정상 구동중임이 확인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