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29
0
안녕 하세요..
아래 내용에 대해서 문의 드립니다.
type C = (value:number) => void;
type D = (value:10) => void;
let c: C = (value) => {};
let d: D = (value) => {};
c = d;
type Animal = {
name: string;
color: string;
};
type Dog = {
name: string;
color: string;
breed: string;
};
let animalFunc = (animal: Animal):void => {
console.log(animal.name);
};
let dogFunc = (dog: Dog):void => {
console.log(dog.name);
console.log(dog.color);
};
에서 c 와 d 의 경우 매개변수가 원시타입? 인 number 와 number 리터럴 간의 관계 이고 Animal 타입과 Dog 타입의 경우는 객체 간의 관계 입니다.
Animal 의 인자는 1개 이고 Dog 는 2개 이므로 대입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오류가 발생 하지만 위의 number 와 number 리터럴은 원시타입 이므로 Animal, Dog 와 달리 대입 인자의 갯수 등은 문제가 되질 않습니다.
그래서 매개변수의 호환성 에서 설명이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그렇다면 number 와 number 리터럴 간의 관계가 객체 타입 처럼 슈퍼와 자식 간의 관계로 봐야 하나요?
그리고 인자의 갯수 등은 문제가 되지 않는건가요?
제 질문의 의도가 잘 전달 되었는지 모르겠습니다.
감사 합니다.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타입스크립트에서의 함수 타입은 쉽게 말해,
c = d 할 때, d의 매개변수 타입이 c 매개변수 타입보다 같거나 더 넓어야 합니다.
따라서 d의 매개변수 타입이 c 매개변수 타입의 슈퍼타입이어야 합니다.
이때의 요점은 number와 number 리터럴 타입 사이의 “관계”가 바뀌는 게 아니라는 점 입니다.
number 타입이 number 리터럴 타입의 슈퍼타입임에는 변함이 없지만
함수 타입의 호환성을 따질때에는 예외적으로 이렇게 적용된다고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런 개념을 정확한 용어로는 공변성/반공변성 이라고 하는데요 이에 대해 잘 설명되어있는 블로그 아티클을 몇개 첨부해 드리겠습니다. 읽어보시면 도움이 되실듯 합니다 😀
https://mycodings.fly.dev/blog/2024-02-20-understanding-typescript-covariant-and-contravari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