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27
·
수정됨
0
강의를 완강하고
실제 서버 및 호스트를 구축하고 있습니다.
실제 클라이언트 호스트에 배운대로 agent2를 설치하고 passive 모드로 서버의 정보 및 docker의 상태를 수집하는 것 까지는 완료 했습니다.
그런데 제가 원래 목표로 한 데이터의 수집이 안되 조언을 얻고자 합니다.
저는 클라이언트 호스트에 docker-compose로 mysql과 postgresql을 설치했습니다.
처음에는 각 컨테이너 내부에서 에이전트를 passive로 설치하고 각 컨테이너에서 10050을 10055로 포트포워딩 하고 서버에서 이를 바라보게 했는데, 데이터 수집이 안되었습니다.
이에 gpt 및 구글링과 문서를 참고해 active로 변경하였는데 이 또한 수집이 안되더군요.
이와 같이 하나의 서버에 여러개의 컨테이너를 설치하고 컨테이너 내부를 모니터링 해야 하는 경우 어떤 모드를 사용해야 하고 포트는 어떻게 설정해야 하는지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그리고 문서에서는 찾지 못했는데, gpt의 답변에서 mysql 혹은 postgresql의 템플릿을 사용하는 경우 3306과 같은 포트로 직접 db로 접속하기 때문에 10050 10051과 같은 포트 설정을 할 필요가 없다고도 하는데 이게 맞는지도 알고 싶습니다.
답변 2
0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