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Lil Lil님의 프로필 이미지
Lil Lil

작성한 질문수

Ruby on Rails 공식 가이드 따라잡기

Ruby on Rails 공식 홈페이지 둘러보기

레일즈를 사용하던 기업들이 주 언어를 바꾼 이유가 궁금합니다

작성

·

41

0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스타트업에서 nodejs를 기반으로 백엔드 개발 중인 2년차 개발자 입니다.

개인적으로 java보다 js, python을 더 좋아하고, 최근에는 레일즈 개발자 친구를 알게되어 ruby 언어와 rails의 프레임워크에 관심이 많이 생겼습니다. 처음 개발을 배울 때 rails를 했다면 웹 개발 생태계를 더 이해하기 쉬웠겠다는 생각에 강의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레일즈를 사용해서 서비스를 시작했던 곳들이 생각보다 적지 않은데, 지금은 스프링 기반으로 바뀐 것 같아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레일즈가 대규모 서비스에 힘들다거나 느리다는 말이 다 편견이라고 생각하고, 카카오도 천만 유저 당시에도 레일즈로 운영되었다고 들었는데 지금은 대부분 스프링을 택한 것 같아서요.

스프링의 이점이 커서인지, 우리나라 특성 상 레일즈 개발자 채용이 힘들어선지,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개인적인 경험으로, ‘당근도 초기에는 성장이 먼저라 코드는 엉망이었다 나중에 개발자 새로 뽑아서 다시 만든거다’라는 얘기도 들었는데 전혀 공감이 안 되었고, 개발자로 일하는 동안 하나의 프레임워크에 묶이지 않고 다양한 경험을 해보고 싶은데 우리나라는 너무 스프링만 도입하는 것 같아 강의와 관련은 없지만 질문 드립니다!

답변 1

0

Stark님의 프로필 이미지
Stark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질문 감사합니다. 백엔드 2년차 개발자로서 기술 스택에 대해 고민하고, 레일즈에 관심을 가지게 되신 점 정말 반갑고 멋지네요. :)

 

말씀하신대로 국내에서는 레일즈로 시작해서 스프링 기반으로 기술 스택을 변경한 사례가 많은데요, 구체적인 이유는 회사마다 다를 수 있겠지만, 경험적으로 봤을 때는 우리나라 특성에 따른 개발자 채용이 어려운 점이 가장 크다고 생각해요.

 

물론 요즘에는 자바라고 해서 채용이 쉽다고 보긴 어렵지만 국내에서 사실상 표준처럼 여겨지는 Java 생태계가 더 유리했을 것 같아요.

 

성능적인 부분은 다른 해외 사례에서 충분히 입증을 해주고 있다고 생각하고, 당근마켓도 주요 서비스가 아직 레일즈 기반으로 되어있기 때문에 충분한 근거가 될 수 있을거에요.

 

마지막으로 당근마켓을 새로 다시 만들었다는 이야기는 마이크로서비스로 나눈 기능에 대한 이야기라면 이해가 되는데 코드가 엉망이라서라기보단 설계적 관점에서 진행된거라고 생각해요. 어떤 분이 말씀하신건진 모르겠지만 저보다 내부 사정을 잘 아는 사람은 없을 것 같네요 😅

 

생각하신대로 언어보다는 어떤 경험을 하느냐가 제일 중요한 것 같아요. 프레임워크는 도구일뿐이니 어떤 경험을 할 수 있는지를 판단 기준으로 삼으시면 성장하는데 큰 도움이 되실거에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Lil Lil님의 프로필 이미지
Lil Lil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