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teoh_us님의 프로필 이미지
teoh_us

작성한 질문수

dbt, 데이터 분석 엔지니어링의 새로운 표준

DW의 star-schema 생성

작성

·

50

0

(질문전 반드시 AI-assitant와 먼저 해결해보세요!)

1. 이 문제를 해결해보기 위해 어떤 시도를 해보셨나요?

2. 질문 내용만 보았을 때, 답변자가 질문의 의도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컨텍스트가 다 들어있나요? (영상 xx:yy ~ zz:aa 부분, 시도해본 작동하는 전체 코드 등)

 

안녕하세요! dbt 강의 너무 재미있게 공부하고있습니다.

미국에서 공부하고 있어 dbt가 얼마나 강력하고 많은 곳에서 원하는지 몸으로 체감하고 있습니다.

혹시 궁금한 부분이 기존 ETL의 경우 Transform단에서는 데이터 전처리, 타입 변환 등이 수행되고 DW staging db 단에 load 된 후에 여기서 table간의 조인 등의 처리로 Star-schema (Fact, dimension tables) 이 개발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dbt의 경우 말씀해주신대로 ELT 방식으로 DW로 load된 후에 Transform되는 방식인데요.

dbt가 그럼 Star-schema (Fact, dimension tables) 개발를 개발하는 단계에도 관여를 하는 걸로 이해하면될까요? (e.g. BIgQuery에서 개발되는 것이 아닌 dbt 상에서 개발하게 되는지)

답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답변 1

1

DeepingSauce님의 프로필 이미지
DeepingSauce
지식공유자

네, 이게 팀이나 사용방식에 따라 차이가 있겠지만, 저 같은 경우는 dbt 를 이용해서 modeling 까지 가미해서 warehouse를 구축합니다. 실제 source로 등록되는 데이터들이 f/d 형태의 데이터가 아닌, 실제 서비스 운영에 특화된 데이터 포멧이라, dbt를 이용해서 f/d 모델링은 높은 확률로 다 하게되는 것 같아요

teoh_us님의 프로필 이미지
teoh_us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