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함형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함형민

작성한 질문수

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타입스크립트(TypeScript)

함수 오버로딩

함수 오버로드의 func() 구현 시그니쳐 작성 중 궁금한게 있습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50

0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영상은 [함수 오버로딩] 8:30 정도이구요.

function func(...rest: number[]) {
  const [a, b, c] = rest;
  if (typeof b === "number" && typeof c === "number") {
    console.log(a + b + c);
  } else {
    console.log(a * 20);
  }
}

매개변수를 강사님께선 b?:number, c?:number로 없을 수도 있다라고 표시해준다 하셨는데
저는 강의를 보던 중 위 코드가 떠올라서 적용해보았는데 결과 값은 같았습니다.

매개변수가 더 늘어날 수 있다는 점에서 이점이 있어 보이는데 강사님이 알려주신게 더 나은 코드일까요?

위의 코드에 문제점이 있어 알려주시면 감사 드리겠습니다.

답변 1

1

이정환 Winterlood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정환 Winterlood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말씀하신대로 number[] 타입으로 정의하셔도 문제가 발생하지는 않습니다.

대신 아래의 예제 코드처럼 두번째, 세번째 인수의 타입이 정확하게 추론되지 않는 문제가 있습니다.

function func(a: number): void;
function func(a: number, b: number, c: number): void;

function func(...rest: number[]) {
  const [one, two, three] = rest;
  one.toFixed();
  two.toFixed();
  three.toFixed();
}

원래라면 함수 내부의 변수 two와 three는 number | undefeind 타입이어야 합니다. 첫번째 오버로드 시그니쳐로 호출했을 경우에는 값이 없기 때문이죠

그러나 지금처럼 number[] 타입으로 매개변수 타입을 정의해두면, 이 배열의 모든 요소의 타입이 number 타입으로 고정되어버립니다.

결과적으로 위와 같이 안전하지 못한 연산을 하게 되어 타입 오류를 발생시킬 염려가 있습니다.

 

함형민님의 프로필 이미지
함형민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