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오리쉐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리쉐리

작성한 질문수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값 타입 컬렉션

값 타입 컬렉션 대안 질문드립니다.

작성

·

67

0

안녕하세요.

강의에서, 값 타입 컬렉션일때는

findMember.getAddressHistory().remove(new Address("old1", "street", "zipcode")); findMember.getAddressHistory().add(new Address("new1", "street", "zipcode"));

이렇게 값을 삭제하고 추가하는 방식으로 값을 수정해줬었습니다. 

 

 1.

AddressEntity entity = findMember.getAddressHistory().get(0);
// entity.setAddress(new Address("newCity", "street", "zipcode"));
addressEntity.getAddress().setCity("new1"); 

엔티티로 변경하게되면 이렇게 수정해주면 될까요?

  1. 그리고 위와같은 수정 방식에 대해서 entity.setAddress(new Address("newCity", "street", "zipcode")); 를 하든, addressEntity.getAddress().setCity("new1"); 를 하든 동일하게 update쿼리가 하나만 발생하는것을 확인했습니다. 근데 왜 addressEntity.getAddress().setCity("new1"); 를 해도 JPA가 변경감지를 통해 update쿼리를 발생시키는지 궁금합니다. 값 타입을 수정할때는

    findMember.setHomeAddress(new Address("newCity", a.getStreet(), a.getZipcode())); 이런식으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기존 인스턴스를 교체해야한다고 하셨는데 왜 해당 부분에서는 통으로 새로운 인스턴스를 생성해서 교체하지않고 단순히 addressEntity.getAddress().setCity("new1"); 를 하면 update쿼리가 발생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2. 그리고 값타입 컬렉션 대신에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가 기존 delete로 다 삭제하고 insert를 각각 해주는걸 단순히 update쿼리 하나로 해당 엔티티에 대해서만 수정하게 하기위해 인가요??

감사합니다.

답변 1

0

김영한님의 프로필 이미지
김영한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오리쉐리님

  1. 엔티티면 내부 필드만 바꿔도 Dirty Checking 으로 update 1건이 나갑니다. 여기서는 결과적으로 AddressEntity의 값을 수정한 것이 됩니다.

  2. 값 타입 컬렉션은 원칙적으로 delete+insert 를 사용하므로 "불변 + 통째 교체" 원칙이 필요합니다.

  3. 네 맞습니다. 값 타입 컬렉션은 이런 문제들 때문에 아주 간단한 상황에서만 사용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오리쉐리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리쉐리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