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6udguin님의 프로필 이미지
6udguin

작성한 질문수

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주문 서비스 개발

OrderService의 .cancel() 메서드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작성

·

81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이 부분 관련해서 반복적으로 학습중인데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 취소 */
    @Transactional
    public void cancelOrder(Long orderId) {

        //주문 엔티티 조회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주문취소
        order.cancel();
    }

이 부분에서 orderId
"주문 PK" 를 인자로 받아 주문에 대한 데이터 order 를 조회해왔습니다.

그다음 order.cancel(); 메서드를 호출하는데

해당 메서드에는 파라미터로 아무것도 넣지 않았습니다.

 

//==비즈니스 로직==//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

그 다음 위의 Order 엔티티의 cancel 메서드가 호출이 되는데
예외처리 부분을 지나 이제
"해당 주문에 포함된(저장된) 주문품목(OrderItem) 의 addStock() 하는 메서드까지 연결이 됩니다.

OrderService > Order > OrderItem > Item 까지의 순차적인 cancel 및 addStock() 메서드까지 실행이 완료되면
OrderService의 cancelOrder메서드의 트랜잭션이 종료가 되어 flush가 발생/DB 쿼리가 날라감
까지 제가 이해를 하고 있습니다.

혹시 틀린 부분이 있다면 말씀부탁드리겠습니다!

가장 헷갈리는 부분이 이건데,
Order order.cancel() 이 부분에서
order 라는 Order 엔티티 객체에 바로 cancel() 메서드를 사용했는데

    /**
     * 주문 취소
     */
    public void cancel(){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조회한 데이터는 Order 뿐인데 다음 코드가

delivery.getStatus() 입니다.
갑자기 delivery가 어디서 나온건지.. 모르겠습니다.
예외처리가 끝나면 나오는 orderItem 또한 갑자기 무슨 데이터를 가지고 반복문을 돌리는지 모르겠습니다.


제 짧은 지식의 추측상
예외처리시에 delivery.getStatus() 는
Order엔티티와 1:1 관계이기에
delivery가 사용하게 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 delivery 데이터를 조회하여 사용하고
OrderItem 또한 Order와 일대다관계이기에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이렇게 사용될 때 지연로딩을 이용하여
Order pk를 가진 OrderItem 의 데이터를 가지고와 반복문을 돌리게 되는건가요??

너무 헷갈리네요.. 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나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6udguin님, 공식 서포터즈 David입니다.

이전 강의인 '주문, 주문상품 엔티티 개발'을 참고해 주세요.

주문 엔터티에서 어떤 데이터를 가지고 있는지 확인하시고 이 데이터들을 어떤 메서드에서 다루고 있는지도 확인해 보시면 더 잘 이해되실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6udguin님의 프로필 이미지
6udguin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