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63
·
수정됨
0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주제에 벗어나는 것 같아서 조심스럽게 질문드려보자면, 앱 라우트 방식에서 반응형을 구현하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저는 이전에 페이지 라우터 방식에서 작업할 때 window.matchMedia
를 사용해서 useMediaQuery 훅을 만들어 반응형을 구현했습니다.
근데 서버 컴포넌트에서는 위와 같은 방식을 사용하기 어려울 것 같은데 혹시 앱 라우트 방식에서 반응형을 구현할 때 많이 쓰이는 방식이 있을까요?
화면 너비에 따라 컴포넌트의 size prop을 다르게 넘겨주어야 하는 경우에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사용해야 할까요? 이 경우 다수의 컴포넌트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가 될 것 같아 우려스럽더라고요.
Next.js의 앱 라우터에서 반응형을 구현하는 방식에 대해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답변 1
2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서버 컴포넌트에서는 말씀하신대로 useMediaQuery 등의 React Hooks를 사용할 수는 없습니다 🥲
반응형 레이아웃을 구현하는데에는 여러 방법이 있겠지만, 보통은 CSS의 mediaQuery를 그대로 이용하게 되는 것 같아요, 그냥 CSS 스타일로 screen-width에 따라 다른 스타일을 적용시키는 방식으로 많이 작업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
화면의 너비에 따라 컴포넌트의 size Props을 다르게 넘겨줘야 하는 경우에는, 컴포넌트의 Props 자체가 "화면의 너비" 라는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만 접근할 수 있는 정보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어쩔 수 없이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구현해야 할 것 같습니다.
혹은 Layout 컴포넌트 정도만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구현하고 그 외의 페이지 컴포넌트는 서버 컴포넌트로 구현하는 것도 충분히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아요 (children Props로 전달되는 페이지 컴포넌트는 클라이언트로 전환되지 않으니까요)
자세한 답변 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