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멘토링

로드맵

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흔들거북이님의 프로필 이미지
흔들거북이

작성한 질문수

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7.3) useEffect로 라이프사이클 제어하기

이번 section에서 소소한 의문점 질문 남깁니다!

해결된 질문

작성

·

195

0

안녕하세요! 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__)

이번 section에서 소소한 의문점이 하나 남아서 질문 글 남깁니다.

 

먼저 강의에서 작성해주신 아래의 코드 블럭 말인데요,

  // mount가 됐는지 확인 하는 ref 변수
  const isMount = useRef(false);

  // 1. 마운트 : 탄생
  useEffect(() => {
    console.log("mount");
  }, []);

  // 2. 업데이트 : 변화, 리렌더링
  useEffect(() => {
    if (!isMount.current) {
      isMount.current = true;
      return;
    }
    console.log("update!");
  });

isMount ref 변수가 현재 컴포넌트의 마운트 여부를 체크하는 변수로 만들어졌는데, 그렇다면 마운트 시점에서 true로 갱신해줘야하는게 아닌가 싶어서요.

 

기본적으로 컴포넌트가 마운트 되면 컴포넌트가 만들어졌다, 즉 변화 했다라고도 할 수 있는거니, update 로직도 같이 실행 되어야 하는게 맞지 않나 라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위 예시는 제가 이해한대로 해석하면 "컴포넌트가 마운트가 되었지만 처음 시점의 update 로직은 패스한다" 라고 생각되는 느낌이라서 살짝 애매하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 1. 마운트 : 탄생
  useEffect(() => {
    console.log("mount");

    // mount 시점에서 실행 될 프로세스 start
    // mount 시점에서 실행 될 프로세스 end

    // 모두 마무리시
    if (!isMount.current) {
      isMount.current = true;
    }
  }, []);

  // 2. 업데이트 : 변화, 리렌더링
  useEffect(() => {
    // update 프로세스 진행
    console.log("update!");
  });

마운트 시점에서 동작하는 프로세스가 마무리 된 후 isMount를 갱신하고, 그 다음 update 시점은 이미 마운트가 되어야지만 동작하는거니 별도의 mount 체크 필요없이 update 프로세스를 작성하면 되지 않나 싶었습니다.

 

물론 이렇게 되면 isMount 자체를 현 시점에서 사용 할 이유가 없으니 애매해지긴 하겠지만요..

 

글 재주가 없어서 질문이 좀 난해해서 죄송합니다 ㅠㅠ 강사님께서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질문 드립니다!

답변 1

1

이정환 Winterlood님의 프로필 이미지
이정환 Winterlood
지식공유자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useEffect는 컴포넌트의 마운트, 리렌더링시에 콜백함수를 호출합니다. 따라서 아래의 코드에서 두 useEffect의 콜백함수 모두 마운트 시점에 모두 호출 됩니다.

  // 1. 마운트 : 탄생
  useEffect(() => {
    console.log("mount");

    // mount 시점에서 실행 될 프로세스 start
    // mount 시점에서 실행 될 프로세스 end

    // 모두 마무리시
    if (!isMount.current) {
      isMount.current = true;
    }
  }, []);

  // 2. 업데이트 : 변화, 리렌더링
  useEffect(() => {
    // update 프로세스 진행
    console.log("update!");
  });

그러나 두번째 useEffect는 컴포넌트의 업데이트 시점에 동작할 로직을 작성하기 위해 존재합니다.마운트 시점에 동작할 로직이 아닌 업데이트 시점에만 동작할 로직을 말이죠

그렇기에 두번째 useEffect 함수가 마운트 시점에는 동작하지 않도록 만들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다음과 같이 isMount Ref를 사용해 마운트 시점에서는 아무런 동작도 하지 않도록 설정해야 합니다.

  // 2. 업데이트 : 변화, 리렌더링
  useEffect(() => {
    if (!isMount.current) {
      isMount.current = true;
      return;
    }
    console.log("update!");
  });

요점은 useEffect는 각각 독립적으로 실행된다는 점 입니다. 먼저 작성된 useEffect에서 마운트 동작을 정의했다고 해서 다음 작성된 useEffect에서 마운트 동작이 생략되지 않습니다.

 

흔들거북이님의 프로필 이미지
흔들거북이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