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43
0
해당 강의 예시에서는
// Dog 타입인지 확인하는 타입 가드
function isDog(animal: Animal): animal is Dog {
return (animal as Dog).isBark !== undefined;
}
// Cat 타입인지 확인하는 타입가드
function isCat(animal: Animal): animal is Cat {
return (animal as Cat).isScratch !== undefined;
}
function warning(animal: Animal) {
if (isDog(animal)) {
console.log(animal.isBark ? "짖습니다" : "안짖어요");
} else {
console.log(animal.isScratch ? "할큅니다" : "안할퀴어요");
}
}
위의 코드와 같이 Dog와 Cat 두개를 작성하셨는데, 만약 훨씬 더 많은 동물이 있다면 그 개수만큼 사용자 정의 타입가드를 생성해야하나요? 큰 프로젝트의 경우, 가드를 해줘야할 타입이 많을 것 같고, 그만큼 코드의 양이 늘어날 것 같다고 생각되어서요!
그리고 위의 질문과 비슷할 수도 있는데 타입가드 함수의 반환값이 animal is Dog 과 같이 작성되어 animal이 Dog 으로만 추론되게끔 반환이 되는데 만약, 조건문에서 Dog 또는 Dragon인지 확인하고 그 조건문의 구현부에서 실행되는 코드가 같다면
type Dog = {
name : string;
isBark : boolean;
}
type Cat = {
name : string;
isScratch : boolean;
}
type Dragon = {
name : string;
isBreatheFire : boolean;
}
type Animal = Dog | Cat | Dragon;
function isDogOrDragon(animal : Animal) {
return (animal as Dog).isBark !== undefined || (animal as Dragon).isBreatheFire !== undefined;
}
function isCat(animal : Animal) : animal is Cat {
return (animal as Cat).isScratch !== undefined;
}
function warning(animal : Animal) {
if( isDogOrDragon(animal)) {
// 용 또는 강아지
console.log('강아지 또는 용입니다.');
} else if (isCat(animal)){
// 고양이
console.log(animal.isScratch ? "할큅니다" : "안할퀴어요");
}
}
사용자 정의 타입 가드 함수 isDogOrDragon
에서 Dog 또는 Dragon인지 확인하는 함수에서는 어떻게 반환하면 될까요?
답변 1
0
안녕하세요 이정환입니다.
우선 첫번째 질문부터 답변드리면, 모든 타입에 대해 타입 가드를 개별적으로 적용해 주셔야 합니다. 만약 타입의 종류가 매우 많아 이런 방식이 비 효율적으로 느껴지신다면 이럴때는 오히려 커스텀 타입 가드 대신 in 연산자를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는게 좋을 수 있습니다. 또는 서로소유니온 타입으로 각 타입을 정의하셔서 다음과 같이 해결하시는것도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type Dog = {
type: "dog";
name: string;
isBark: boolean;
};
type Cat = {
type: "cat";
name: string;
isScratch: boolean;
};
type Dragon = {
type: "dragon";
name: string;
isBreatheFire: boolean;
};
type Animal = Dog | Cat | Dragon;
function warning(animal: Animal) {
switch (animal.type) {
case "dog":
console.log(animal.isBark ? "짖습니다" : "안짖어요");
break;
case "cat":
console.log(animal.isScratch ? "할큅니다" : "안할퀴어요");
break;
case "dragon":
console.log("용입니다.");
break;
}
}
다음으로 하나의 타입가드에서 Dog이거나 Dragon이거나 둘 중 하나로 추론되도록 만들고 싶으시다면, Animal is Dog | Dragon 으로 반환값의 타입을 정의해 주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 값을 활용하실 때에는 타입을 좁혀 활용하시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