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97
0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관계에 대해 이해를 잘못하겠습니다.
============질문을 하게된 계기============
다나와에 들어가보면 쓰레드에 관하여
"쓰레드는 cpu내부에서 실질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가장 작은 논리단위" 라고 써져있고
쓰레드는 메모리를 공유하고, 프로세스는 독자적인 메모리를 차지 하고있으며
프로그램하나가 단순히 하나의 프로세스로 처리하기 어려워서 더작은 실행의 단위가 필요해서 나온게 쓰레드로 알고있습니다
(출처 : 프로세스와 스레드의 차이 (velog.io))
아마 저는 쓰레드가 소프트웨어적 개념인데 왜 cpu에 따라 쓰레드 수가 정해져있는지 이해를 못하고있는거같습니다.
무슨질문을해야 궁금증이 해결될까 고민하다가 제목과 같은 질문을 하게 되었습니다.
====================================
만약 저와 같은 질문을 한사람이 있었다면... 링크만 달아주시면 감사히 보겠습니다.
답변 2
1
'실행'의 다른 이름은 연산입니다. 우리가 만든 모든 프로그램들은 수행해야 할 명령들이 한 줄로 나열(직렬적 형태)되어 있는 모습으로 존재한다 할 수 있습니다. CPU 코어는 이 연속된 명령어 스트림에서 하나씩 명령을 가져와 연산합니다. 이 연속된 흐름이 실행의 단위(보통 스레드)가 되는 것입니다. 코어가 여럿이면 이런 흐름을 여럿 만들어 동시에 개별 연산을 수행합니다. 그리고 이는 물리적인 것입니다.
수행 해야 할 흐름이 CPU 코어 개수보다 많다면 연산되지 못하는 실행 단위 흐름은 '대기'하게 됩니다. 이런 구조 때문에 CPU 코어가 1개 뿐이라 하더라도 다수의 스레드들을 번갈아 연산하는 방식으로 동시(?)에 처리 합니다. 실제로는 한 번에 한 흐름만 연산하지만 전자적인 속도로 빠르게 스위칭 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마치 동시에 실행되는 것처럼 느끼게 됩니다.
그러므로 요약하면 질문이 잘못됐다 하겠습니다. 스레드가 16가 아니라 물리적 CPU 코어가 16개라면 최소 16개의 실행 흐름이 동시에 연산할 수 있는 것입니다. 더불어 하이퍼 스레딩에 대해서도 알아두면 좋겠으나 이야기가 너무 길어지는 것 같아 생략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0
안녕하세요, 인프런 AI 인턴입니다.
김준용님,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관계, 그리고 쓰레드 수와 CPU의 관계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기 위해 몇 가지 정보를 드리고자 합니다.
“쓰레드 수”와 관련하여 CPU에 따라 쓰레드 수가 정해져 있는 이유는, 현대의 CPU는 하드웨어적으로 여러 쓰레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기능(예: 하이퍼스레딩)을 가집니다. 이는 동시에 더 많은 작업을 처리할 수 있도록 만들어 CPU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것입니다. 즉, CPU의 쓰레드 수는 CPU가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작업의 최대 수를 의미합니다.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구성 및 관계에 대해 질문하신 부분과 관련하여, “Application Program 설계 시 multi-process vs. multi-thread“에 관한 질문에서 지식공유자분이 제공한 답변이 여러분의 이해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김준용님의 경우, 쓰레드가 CPU 내부에서 작업을 수행하는 단위로서의 역할과, 왜 CPU에 따라 쓰레드 수가 정해져 있는지에 대한 궁금증을 가지고 계신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CPU의 코어 수와 쓰레드 수의 관계는 하드웨어의 병렬 처리 능력과 밀접하게 관련이 있음을 이해하셔야 합니다. 멀티코어 CPU가 여러 쓰레드를 동시에 처리할 수 있게 할수록, 프로세스(그리고 그 내부의 스레드들)는 물리적으로 병렬적으로 실행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즉, CPU의 쓰레드 수는 동시 실행할 수 있는 프로세스(또는 임무)의 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운영 체제 및 응용 프로그램 설계 상에서는 훨씬 더 많은 수의 프로세스 및 스레드가 관리 및 실행될 수 있습니다. 프로세스 내에서 많은 수의 스레드가 생성, 관리될 수 있으며, 이는 운영 체제의 스케줄러에 의해 관리됩니다. 따라서, 물리적인 CPU 쓰레드 수와 별개로, 소프트웨어적으로는 더 많은 수의 프로세스와 쓰레드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지식을 바탕으로, 프로세스와 쓰레드, 그리고 CPU 코어 및 쓰레드 수의 관계에 대한 더 깊은 이해를 얻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저는 질문자님의 이해를 돕고자 지식공유자님의 기존 답변을 참고하여 유사한 답변 링크를 추천해드리고 있습니다.
현재 베타 기능으로 답변이 만족스럽지 않을 수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으시면, 이어서 질문해 주세요. 곧 지식공유자께서 답변해 주실 것입니다.
아 그러면 물리적인 쓰레드랑 소프트웨어적인 쓰레드랑 서로 다른건가요???
예를 들면 cpu에 물리적인 쓰레드가 16개가 있다고 해도 소프트웨어 적으로는 16개보다 더많은 쓰레드가 존재할 수 있는것인가요?
아아아 이제 완전히 이해했어요. 감사합니다
제 오개념은 쓰레드를 코어처럼 생각한 거군요.
하이퍼쓰레딩은 다나와에서 읽어봤습니다!
"실행흐름"이라는 단어를 보자마자 확 깨달았네요.
정말 훌륭한 어휘선택같아요.
감사합니다 속이 시원합니다!!! 행복한날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