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272
·
수정됨
0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
(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
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
(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
=========================================
[질문 템플릿]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질문 내용]
[Bean Validation - HTTP 메시지 컨버터] 강의 중에 컨트롤러가 호출되지 않은 이유를 나름대로 생각을 정리했는데 이것이 맞는건지 확실하게 짚고 넘어가고 싶어 질문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DTO를 사용하기 전 기존 버전의 코드는 엔티티를 직접 외부에 노출시키고 @ModelAttribute
를 사용하여 각 필드에 맞게끔 값을 넣고 이 값을 이용하여 검증을 수행하는 방식이었습니다.
바뀐 버전의 코드에서는 DTO를 사용하여 엔티티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고 DTO에 대해 검증을 수행을 하는데 이 때 @RequestBody
로 객체 단위 바인딩(?)을 수행하게되고 이 과정에서 타입 오류가 발생하였기에 컨트롤러가 호출이 안되는 것이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을까요?
답변 2
1
시간이 좀 지난 질문이지만, 다른 분들도 궁금하실 것 같애서 추가 답변 남깁니다.
@ModelAttribute
를 사용할 경우 ModelAttributeMethodProcessor
(ArgumentResolver
)가 사용됩니다.
여기서 리플렉션을 통해 @ModelAttribute
객체의 생성자를 기본 생성자를 호출합니다.(모든 필드 변수의 값이 디폴트 값[int = 0, String = null, ...])
이후 DataBinder
를 사용하여 요청 파라미터의 key를 가지고 리플렉션을 통해 @ModelAttribute
객체의 같은 key 에 대한 정보를 찾습니다.
그리고 찾은 필드 변수의 타입을 가지고 요청 파라미터의 값을 설정합니다.
이 때, int 필드에 문자열이 들어가면 형 변환에 실패하고, BindingResult
에 FieldError
를 넣는 과정이 있습니다.
그래서 @ModelAttribute
경우 TypeMismatch
에러가 발생해도 BindingResult
를 파라미터러 받는다면 컨트롤러가 호출됩니다.
@RequestBody
의 경우는 RequestResponseBodyMethodProcessor
(ArgumentResolver
)가 호출됩니다.
이후 AbstractJackson2HttpMessageConverter
(HttpMessageConverter
)에서 Jackson
라이브러리를 통해 요청 HTTP 메시지 바디의 json string
를 @RequestBody
객체로 변환하는 작업을 합니다.
이 때, int 필드에 문자열이 들어갔다면, Jackson
라이브러리에서 InvalidFormatException
을 발생시키고, BindingResult
가 있더라도 컨트롤러에 진입 조차 할 수 없고 400 예외 메시지가 발생하게 됩니다.
이 차이 떄문에 @ModelAttribute
는 클라이언트가 잘못된 데이터 타입의 값을 입력해도 적절한 에러 메시지를 바인딩하여 컨트롤러에 진입할 수 있지만, @RequestBody
는 아예 컨트롤러 진입 전에 요청이 실패하는 차이가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