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earn brand logo image

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오은총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은총

작성한 질문수

시스템엔지니어가 알려주는 리눅스 기초편 Bash Shell Script

실무에서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_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네트워크 관련 명령어 중 강의 질문입니다!

작성

·

871

1

영상중 netstat 혹은 ss 그리고 -taun 옵션을 주었을때

Local Address:port 그리고 peer Address:port 의미 해석좀 부탁드리겠습니다

선생님 local address:port = 10.0.2.15:22 고 peer address:port 10.0.2.2:49905 라고 써져있는데  49905 포트로 내부 22번 포트접속 했다 라고 이해하면 되나요?

답변 2

0

오은총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은총
질문자

감사합니다!

0

안녕하세요 은총님! 정말 열심히 공부중이시라 기쁩니다!!

1.
netstat 명령어와 ss 명령어의 결과 용어가 조금 달라지는데 대응은 다음과 같습니다.

netstat : Local Address = ss : Local Address

netstat : Foreign Address = ss : Peer Address

입니다.

로컬 어드레스는 용어 그대로 현재 접속해서 사용 중인 서버의 주소를 의미하고 

포린어드레스 또는 피어어드레스는 이 서버에 접속한 클라이언트의 주소를 의미합니다. 


2.
local address:port = 10.0.2.15:22 

peer address:port = 10.0.2.2:49905 

의 의미는 현재 작업 중인 서버(10.0.2.15)의 22번 포트에

클라이언트(10.0.2.2)의 49905포트를 이용하여 접속하고 있다는 의미가 되므로 이해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그리고 클라이언트의 포트는 랜덤으로 할당하므로 매 번 접속 할 때마다 달라집니다.

오은총님의 프로필 이미지
오은총

작성한 질문수

질문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