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결된 질문
작성
·
158
0
안녕하세요 현재 강의를 세션 6까지를 수강하고 다시 한번 복습을 하고 있는 중입니다.
복습을 하면서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Configuration 을 설정하면 Spring에서 자동으로 그 클래스 안에 있는 @Bean 을 자동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됬다고 알고 있습니다.
수업 중에 테스트코드에 ApplicationContext 를 스프링 컨테이너라고 소개를 하셨고, 그것을 구현을 하셨느데, 그럼 테스트코드를 실행을 하면 스프링 컨테이너가 2개가 생성이 되는 건인가요?
아니면 해당 클래스에서 생성된 bean을 가져오는 역할을 하는 것인가요?
@Autowired 에서 주입된 Bean이 어디에서 가져온 객체인지도 판별이 될 것 같아요
답변 1
1
안녕하세요. 안전한 날치님
어떤 테스트인지에 따라서 다를 것 같아요.
순수하게 테스트를 작성하고 ApplicationContext를 직접 생성한다면 직접 생성한 AppilcationContext가 바로 스프링 컨테이너이고, 스프링 컨테이너가 1개가 됩니다. 이 안에서 모든게 작동하는 것이지요.
예를 들어서 다음 코드에서 스프링 컨테이너는 1개입니다. 바로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자체가 스프링 컨테이너 입니다.
class ApplicationContextBasicFindTest {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ppConfig.class);
@Test
@DisplayName("빈 이름으로 조회")
void findBeanByName() {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 MemberService.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Impl.class);
}
감사합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답변을 토대로 제가 결론을 아래와 같이 내렸는데, 혹시 검토해 부탁드립니다.
강의에 있는 hello.core 아래의 CoreApplication 을 실행시키면, 자동으로 스프링 컨테이너가 생성이 되어 빈을 설정하는데, 테스트 코드에서는 그러한 부분이 없어서 스프링 컨테이너를 수동으로 생성하였다고 이해를 하면 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