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성
·
334
·
수정됨
0
interface A {
talk: () => void;
}
const a: A = {
talk() { return 3; } // 타입스크립트는 메서드의 void니까 리턴값 3을 무시해버린다.
}
const b = a.talk(); // b의 타입이 void가 된다.
console.log(b) // 3
플레이 그라운드에서 돌려보니 b의 타입만 void 로 추론하고
b의 값은 3으로 찍히던데 리턴값을 아예 무시하는건 아닌가요?
타입스크립트 내부에서만 타입추론할때 무시한다는 뜻이겠죠?!
함수의 리턴값에서의 void에 대해서는, 저도 그렇게 이해하고 있습니다!
제로초님이 말씀하셨던 것처럼 매개변수의 void와 콜백함수의 void와는 느낌이 사뭇 다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