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커뮤니티 질문&답변
유튜브 영상과 강의내용 질문
해결된 질문
작성
·
304
0
- 강의 파일시스템 내용을 보다가 질문 드립니다. - 인간계 신계 비유해서 설명해주셨는데 인간계 신계를 인터페이스 역할하는게 - 파일이라 하셨고 이걸 파일시스템을 통해서 커널레벨의 driver 이거로 전달된다 하셨습니다 - 그럼 혹시 코딩을 해서 프로그램을 짤때 예를들면 printf 같은 이런함수가 - 파일시스템을 제어하는 그런 함수인가요?? 
- VPN?? 그럼 PN(Private Network)이 무엇인지는 알고 있는 거죠? - YouTube - 여기 vpn 영상보고 질문드립니다. 터널링에대해서 좀 궁금한게 있는데요 - 영상에서 터널링은 안보이게하는거고 암호화는 못보게하는거라고 하셨습니다 - 근데 제가 알아본결과 터널링은 헤더를 2개붙여서 직방으로 가는거처럼보여서 터널링이라고붙이는거지 암호화랑 다를게 없다는 말이 있던데 맞나요? 
- 마지막으로 영상에서 api 강의를 듣다가 api에서 인터페이스는 함수제공이라고하셨는데 - 근데 api는 프로그램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 방법이라고 나오는데 어떻게 연결이 되죠? 
답변 1
0
- 파일이 커널의 요소를 추상화한 인터페이스 입니다만...늘 파일 시스템을 추상화 하는 것이 아닙니다. TCP/IP에 대한 추상화된 인터페이스가 될 때도 있고 영상 출력을 위한 요소에 대한 인터페이스 일 수 있습니다. printf() 함수는 파일 시스템이 아니라 CON 장치 파일에 대해 출력하는 함수이며 CON 장치 파일은 콘솔 입니다. 이 때문에 콘솔 화면에 문자열로 출력되는 것입니다. 
- '터널'이라는 표현 자체가 일종의 비유 입니다. 그리고 터널링이 헤더를 2개 붙여 구현하는 것이 일반적이긴 한데 IP주소가 둘 붙는 L3 터널링도 있지만 L4수준 터널링도 있습니다. 어떤 경우건 암호화를 통해 정보를 감추는 것이 보통입니다. 자세한 정보는 IPSec VPN에 대해 공부하면 알 수 있습니다. 
- API는 보통 '함수' 형태로 구현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호출, 피호출 관계로 서로 연결됩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