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강사님. 모 회사의 System SW - Software Engineer, Drivers/Runtime (Windows) 포지션 지원에 관심이 있습니다. 공고내용을 검색하면 바로 나오겠지만 따로 회사 이름 언급을 하진 않겠습니다.
공고를 보면
Responsibilities
Windows 환경에서의 AI 소프트웨어 스택의 핵심 구성 요소인 Driver 및 Runtime 개발을 담당합니다.
Product Manager 및 Hardware/Platform 팀 개발자들과 긴밀히 협력합니다.
모델, 데이터, 추론 결과를 하드웨어에 전송하고 수신하는 기능을 구현합니다.
Hardware의 상태 (온도, 에러 등)를 관리하는 기능을 개발합니다.
Cloud platform Software 관점에서 Hardware의 추상화를 담당합니다.
Minimum Qualifications
전산학 분야 학사 이상 학위 소지자
C/C++ 활용에 능숙한 분
윈도우 커널 드라이버,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래밍에 대한 지식 보유
운영체제, 하드웨어 구조에 대한 깊은 관심
우수한 커뮤니케이션 능력
Preferred Qualifications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래밍 혹은 드라이버 개발에 경력이 있으신 분
WinDbg, Win32 API 활용 능력이 있으신 분
리버스 엔지니어링 경험이 있으신 분
이와 같습니다. 제가 드리고 싶은 질문은
강사님의 시스템 프로그래밍 강의를 듣고나서 어떤 것을 공부해야 해당 포지션에 지원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제프리 리쳐의 책을 탐독하면서 윈도우 시스템 프로그래밍 역량을 키우는게 좋을까요?
runtime이라고 하면 보통 어떤 것을 말하는걸까요?
driver 및 runtime 개발 연습하는데 좋은 책과 만들어보면 좋을 토이 프로젝트가 있다면 추천 부탁드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