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미션 1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미션 1

 

미션

  •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은 무엇일까?

    •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과 역량에 대해 서로 다른 의견을 이야기하는 아티클을 3개 이상 읽기

    • 어떤 의견들이 있는지 정리하기

    • 아티클들을 읽고 어떤 생각이 드는지 쓰기



의견 정리

  1. Good Product Manager/Bad Product Manager

  • 제품의 CEO로서 제품의 성공을 전적으로 책임짐

  • 시장, 제품, 경쟁사에 대해 깊이 이해하고 회사의 예산과 상황을 고려하여 실행 가능한 제품을 정의함

     

  •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 전략을 수립하여

    제품이 매출 증대와 고객 만족에 기여하도록 방향 설정

     

     

  1. 프로덕트 매니저에게 꼭 필요한 역량은?

  • 이 과제를 왜 해야 하는지, 어떻게 해야 하는지, 그리고 기대 효과가 무엇인지를 명확하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문제 해결을 잘하려면 문제 정의를 정확하게 하는 것이 가장 중요함

    • 같은 현상이라도 문제를 어떻게 정의하느냐에 따라 해결 방법이 완전히 달라지기 때문

    • 문제를 정의하고 최소한의 비용으로 최대 효과를 내는 해결책을 찾아야 함

  1. 제품 관리자에게 필요한 역량

  • 기술 역량

    • 주요 목표는 개발자와 원활한 의사소통

    • 난이도나 기존의 제품/기능과 얽힌 복잡도, 소요 기간을 제품 관리자가 예측할 수 있어야 함

    • 일의 순서와 디펜던시를 파악하고,

      기술 부채와 제품 부채도 고려할 수 있어야 함

  • UX 역량

    • 고객의 소리를 듣는 게 가장 중요

    • 설문 조사나 데이터 분석 등 다양한 방법으로 얻은 고객의 소리를 통해 서비스 개선을 위한 우선 과제를 도출할 수 있어야 함

  • 비즈니스 역량

    • 제품의 기능적인 면 이외에도 비즈니스적 가치를 생각할 수 있어야 함

    • 회사가 무엇으로 돈을 벌고 어디로 돈을 쓰는지 구조를 알고, 구조 내 어디에서 문제가 생기는지 어떤 부분을 개선할지 제품 관리자가 주도적으로 우선순위 선정에 고려해야 함


느낀 점

  • "프로젝트 매니저는 제품에 책임감을 가지고, 단순 제품에 대한 지식 뿐만 아니라 회사와 산업 자체를 잘 알아야 하며,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여 데이터를 기반으로 제품 전략을 짜고, 고객 만족과 사업 가치를 만들어 낼 수 있어야 한다." 라고 최종 정리해보았다. = 결국

    코치님의 강의 내용과 같다.

  • 지금의 나는 제품에 책임감을 가지고 있지만 그 외의 역량을 기르기엔 쉽지 않은 상황이고 내 노력도 부족했던 것 같다.

  • 이것들을 모두 잘 해내려면 많은 경험을 쌓고 긴 시간의 공부가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든다.

  • 지금은 주니어이기에 당장 다 해낼 수는 없겠지만, 항상 의문을 품고 비판적 사고를 하면서 산업과 제품에 대해 공부해서 전문성을 길러야겠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