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미션 1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은 무엇일까?](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691b9d8b-253e-4e0a-bdf2-36d2c3b5cecf/인프런 썸네일.png)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미션 1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은 무엇일까?
관련 아티클 1
PM과 PO는 뭐가 다를까? (토스)
https://post.naver.com/viewer/postView.naver?volumeNo=33736454&memberNo=39727918&vType=VERTICAL
PM은 성장의 궤도에 오른 제품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풀어야 할 문제를 정의하고 개선 방향을 제시하며 실행.
PM은 최종의사결정권을 가지고 있음.
관련 아티클 2 요즘 핫하다는 직무 'PM', 무슨 뜻일까?
https://zero-base.co.kr/event/media_insight_contents_PM_PMmeaning
프로덕트의 처음부터 끝까지 모든 걸 다 하는 직무
프로덕트(제품)를 매니징(관리)하는 사람이라는 뜻이죠. 하나의 프로덕트를 기획하고, 다른 부서와 협업해 실제로 프로덕트를 만들어내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프로덕트를 알릴 수 있는 전략을 짜고, 고객들의 반응을 수집해 프로덕트를 더 보완하는 일을 하기도 해요. 이 모든 업무들이 정해진 일정에 맞춰 진행될 수 있도록, 일정과 예산을 관리하는 총 책임자의 역할.
관련 아티클 3 PM이란?
https://brunch.co.kr/@highlightkim/1
팀의 유기적인 협업을 이끌어 내고 그로부터 최상의 성과를 얻어야 하는 존재
협업과 갈등의 중심에 위치한 당사자
잘해도 별로 티가 나지 않고 못하면 욕을 먹거나 불필요한 존재로 취급 받게 되는
기업의 규모가 클수록 -> 업무 법위는 좁고 집중
기업의 규모가 작을수록 -> 업무의 범위는 넓어짐
내 의견
PM이 하나의 프로덕트를 처음부터 끝까지 만들어나가는 직무라는 것은 동의한다. 하지만 토스의 경우를 보면 태동기, 유아기, 성장기에는 PO가 중심이고 프로덕트가 안정기에 들어가면 PM만이 프로덕트를 제작한다. 0에서 1을 만드는 직무는 PO이고 1에서 10을 만드는 직무가 PM이라고 생각이 든다.
나는 현재 PM 지망생이지만... 만약 나중에 가능하다면 PM에서 일하다가 PO로도 일을 해보고 싶다.. (그게 가능하다면?ㅎㅎ) PM과 PO를 유기적으로 왔다갔다하는 커리어도 나중엔 흔해지지 않을까? 생각한다.
나는 앞으로 커리어에서 어떤 선택을 할 것인지?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