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PM) - [미션 1]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은 무엇일까?](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999a1790-0afb-4e58-8376-dd17950c40d7/미션 표지.png)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PM) - [미션 1]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은 무엇일까?
[Article 1] 진정한 프로덕트 매니저란 이런 것이다.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의 일
유저의 마음과 머리, 목소리가 되는 것
분야를 가로지르는 팀워크를 촉진시키는 일
프로덕트에 대한 trade-off를 실시하는 일
한정된 자원과 기한 안에 최종 목표에 이르러야 하는
프로덕트 여정 속에서 일관하여 사람들을 이끌어 나가는 일
적은 정보를 가지고 어려운 판단을 내리는 일
프로덕트 매니저가 알아야 할 것 4가지
프로덕트를 관리하는 사람이 아닌 해결할 과제를 관리하는 사람.
프로덕트의 장점은 사용자의 인식이 결정한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디자이너도, 엔지니어도 아니다.
별이 되고자 하는 것이 아닌 우주를 관리하는 일이다.
이 글을 읽은 후 나의 의견
이 글 또한 "프로덕트 매니저는 사용자/고객의 경험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라는 말을 하고 싶었던 것 같다. 그리고 작성자는 프로덕트의 흥망성쇠, 사용자의 이해 여부, 사용자의 경험 등 프로덕트에 관한 모든 것은 프로덕트 매니저의 책임이라고 강조했다. 나는 이 주장을 프로덕트 매니저는 프로덕트가 제공하는 가치를 1순위로 여겨야 한다는 의미로 받아 들여졌다.
[Article 2] Product Manager Job Description - Silicon Valley Product Group : Silicon Valley Product Group
프로덕트 매니저의 역할
비즈니스의 다양한 제약 조건들(마케팅, 세일즈, 서비스, 재무, 법률, 개인정보 처리 등으로부터의 제약 조건들)에 대한 구체적인 지식을 알고, 제품 팀에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사용자 및 고객에 대한 깊은 이해와 그들에 대한 데이터, 그리고 우리의 제품이 어떻게 그들을 충족시키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를 알고 있어야 한다.
우리의 제품의 산업 동향, 경쟁사의 환경을 지속적으로 추적해야 한다.
함께 일하는 엔지니어와 디자이너와의 긴밀한 협업을 통해 효과적인 해결책을 발견해내고, 시장에 전달하는 역할
제품을 출시하는 것 뿐만 아니라 다른 팀원의 목표 달성에도 책임을 기꺼이 지려는 사람이어야 한다.
PM이 되기 위한 필수 요건
학사 학위 또는 그에 준하는 실무 경험
최신 product dicovery 및 product delivery 방법론에 대한 깊은 이해
프로덕트 매니저, 프로덕트 디자이너, 엔지니어, 데이터 분석가,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또는 유저 리서처로서 기술 기반 제품에서 2년 이상의 근무 경험
다양한 제약 조건을 가진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고, 논리적이고 데이터 기반의 서술로 판단 근거를 제시할 수 있는 능력
엔지니어, 디자이너 및 회사 리더들과 협력적이고 건설적인 관계를 유지한 경험
이 글을 읽은 후 나의 의견
프로덕트 매니저라는 직무 자체가 엔지니어와 디자이너 같은 다른 직무들에 비해 다소 추상적이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다.
PM이라는 직무를 희망하고 공부하고 있지만 객관적인 결과물을 보여주기 힘들다는 점에 대해 항상 고민이 많았고, 아직 명확한 나만의 해결책을 찾지 못한 상태이다. 어쩌면 더 많은 것들을 알고 경험해 가면서 스스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이 방법이지 않을까 싶다.
[Article 3] 탁월한 PM이 되기 위해 알아야 하는 제1원칙 (https://publy.co/content/6676)
프로덕트 매니저만큼 하는 일을 설명하기 어려운 직군도 없음.
프로덕트 매니저는 특정 기능이나 서비스를 세상에 선보이기 위해 일정 관리부터 스펙 설계, 미팅 스케줄 조율, 유관 부서와의 커뮤니케이션과 같이 '다자인과 개발을 제외한 모든 일'을 맡고 있음.
프로덕트 매니저로서 자신이 하는 일의 근본 원칙을 잘 인지하고 있어야 혼란에 빠지지 않을 수 있음.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원칙
원칙 1. 목표 달성을 위한 제품 전략을 개발한다.
제품 전략을 세울 때는 3가지 키워드를 중점에 두고 설계한다.
Goal: 목표가 무엇인가?
조직에게 주어진 미션을 깊게 이해할수록 제품 전략이 더욱 정교해진다.Environment: 환경은 어떤 신호를 주고 있는가?
목표 달성을 위한 올바른 길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주변 환경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1. 고객 신호
2. 시장 신호Constraint: 어떤 인적, 금전적, 시간적 제약이 존재하는가?
PM은 자신이 속한 팀의 사람, 돈, 시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지식이 있어야 한다.
원칙 2. 팀원들을 동기 부여해서 최고의 성과를 낸다.
해당 원칙에 대한 중요한 키워드 2가지가 있다.
Role: 팀을 서포트 한다.
팀과 자신의 역량 차이를 파악하고 자신의 정확한 역할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 (리더/파트너/어시스턴트)Responsibility: 팀이 최고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게 한다.
PM은 각 구성원들의 동기부여 요소를 파악해 각자 최고의 퍼포먼스를 낼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
이 글을 읽은 후 나의 의견
개인적으로 가장 많이 들어왔던 PM의 역할에 대한 내용이었던 것 같다. 원칙 1의 세 가지 키워드는 앞으로 직무 수행에 있어 굉장히 도움이 될 것 같은 조언들이었다. 결국 프로덕트, 그리고 내가 속한 팀에 대한 깊은 이해가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 같다. 다만 원칙 2의 내용은 다소 공감이 되지 않았다. PM의 지식을 기반으로 팀을 서포트하는 역할은 동의하지만 동기부여의 역할도 수행하는 것에 대해서는 동의하기 힘들었다. 그것은 단지 PM에게만 부여되는 책임이 아닌 팀원 전체에게 부여되는 책임이어야 한다는 것이 나의 의견이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