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맞이 특별 라이브 선착순 신청🔥

TIL(D+1). [JPA] 영속성 컨텍스트(persistence context)

1.  영속성 컨텍스트란?

- '엔티티를 영구 저장하는 환경' 이라는 뜻이다.

2. 영속성 컨텍스트의 이점

2-1.  1차 캐시 

영속성 컨텍스트 내부에는 캐시가 있는데 이것을 1차 캐시라고 한다. 영속 상태의 엔티티를 1차 캐시 안에 저장한다. 1차 캐시의 키는 식별자 값(데이터베이스의 기본 키)이고 값은 엔티티 인스턴스이다.  조회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1.  1차 캐시에서 엔티티를 찾는다.
     2.  1차 캐시에 엔티티가 있다면 조회한다.
     3.  없다면  db에서 조회한다.
     4.  db에서 조회한 데이터로 엔티티를 생성해 1차 캐시에 저장한다. (영속성 상태가 된다.)
     5.  조회한 엔티티를 반환한다. 

2-2. 동일성(identity) 보장

1차 캐시 덕분에 식별자 키가 101L을 가진 엔티티를 2번 조회해도 같은 객체이다. 1차 캐시로 반복 간능한 읽기 등급의 트랜잭션 격리 수준을 데이터 베이스가 아닌 애플리케이션 차원에서 제공한다.

2-3. 트랜잭션을 지원하는 쓰기 지연 (transactional write-behind)

엔티티 매니저는 트랜잭션을 커밋하기 직전까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지 않고 내부 저장 쿼리에  SQL 을 모아둔다. 그리고 커밋할 때 모아둔 쿼리를 데이터베이스에 보낸다.


엔티티를 영속성 상태로 만들어도 바로 db 저장되는 것이 아니다.

commit을 해야 데이터베이스에  insert SQL을 보내 저장이 된다.

2-4. 변경 감지(Dirty Checking)

JPA 는 엔티티를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할 때, 최초 상태를 복사해서 저장하는데 이를 스냅샷이라고 한다. 플러시 시점에서 스냅샷과 엔티티를 비교해서 변경된 엔티티를 찾는다. 그리고 변경이 되었다면 데이터베이스에 자동으로 반영된다. 흐름은 다음과 같다.

   

     1. 트랜잭션을 커밋하면 엔티티 매니저 내부에서 먼저 플러시가 호출된다.
     2. 엔티티와 스냅샷을 비교해서 변경된 엔티티를 찾는다.
     3. 변경된 엔티티가 있다면 수정 쿼리를 생성해서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보낸다.
     4. 쓰기 지연 저장소의  SQL을  데이터베이스에 보낸다.
     5. 데이터베이스 트랜잭션을 커밋한다.

2-5. 지연 로딩(Lazy Loading)

      배우고 다시 쓸 예정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