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워밍업 클럽 4기 PM/PO 3주차 발자국
내용 정리
4-1 데이터 분야, 통틀어 하는 일은?
데이터를 통해 현황 파악
PM 역할
더 자세히 들여다 보고 패턴 찾기
PM 역할
패턴을 토대로 미래 예측 → 데이터 사이언티스트 역할
한정된 시간, PM이 가장 먼저 배워야 할 데이터 역량은?
[의사결정 전=문제 파악 전] 지표를 이용해 우리 사업 현황 한눈에 파악
[의사결정 전=문제 파악 전] 데이터를 깊이 들여다 보고 인사이트/패턴 찾기
[실행 전] 미리 타당성 평가(;성공할지 예측은 못해도), 우선순위 세우기
[실행 후] 결과(지표) 정량적으로 측정 및 평가
상관관계 찾기
[의사결정 전=문제 파악 전]
지표 활용 → 현황 파악
지표: 섹션5 강의에서 세부적으로 다룸
Acquisition: 고객을 얼마나 잘 획득하고 있나
Engagement: 획득한 고객들이 제품을 잘 이용하고 있나
Retention: 이들이 계속 고객으로 남아있는가, 이탈하는가
Monetization: 이들을 통해 수익을 잘 만들어내고 있는가
지표 대시보드
스프레드시트 등으로 직접 만들거나
프로덕트 애널리틱스 툴(PA tool) - Amplitude, Mixpanel
댓글 확인!
그 툴도 안 쓴다면, SQL의 ‘추출’ 파트만 숙지하여 쿼리날리기
Business Intelligence (BI) tool - redash, Metabase, holistics, taleau DB와 연결하여 쿼리로 데이터 추출 → 시각화/대시보드
엑셀 스프레드시트 역량 또한 필요
[의사결정 전=문제 파악 전]
데이터 땅파서 인사이트/패턴 찾기
데이터 드릴 다운
→ 데이터 해상도 증가 → 새로운 정보 & 인사이트
?: 총집계된 지표를 자세히 쪼개서 보는 것
예시) WAU(Weekly Active User)을 연령대별/지역별/신규&기존 나눠서
HOW?
데이터 다루는 능력: SQL쿼리, 엑셀 피벗 테이블, Product Analysis tool
호기심과 집요하게 쪼개서 보기
[실행 전]
타당성 평가 = 할 만 한가?
현재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는가?
지표에 개선의 여지가 많은가?
[실행후]
기능의 성과/결과 판단을 위한 지표 정량적 측정 및 평가
Feature Adoption: 몇 명이 사용하는가?
Feature Retention: 한 번 사용한 후에도 계속 이용하나?
예시) 결제 전환율: 기능 추가 후 반응 확인
5. 상관관계 찾기
예시) ‘가입 후 1주일 동안 하는 행동’이라는 변수와 ‘리텐션율’이라는 변수 사이 Cor 찾기
페이스북/ 10일 내 실제친구 7명과 연결되면 리텐션율 높아짐.
필수는 아님
4-2 어떤 역량이 필요하고 쌓지?
데이터 추척 관련 역량
의도를 가지고 쌓을 데이터 정의 ⇒ Event Taxonomy(유저 행동 로그) 설계
→ 이걸 하기 위해선, ‘활용하는’ 역량 필요
데이터 활용 역량
어떤 의사결정이 필요한지 정의
그걸 위해 필요한 데이터 정의
어떤 형태로 기록할지, 나중에 분석하는 상황 상상하기!
그래서 어케 쌓지
“실제로” “직접” 해보기 SQL, BI 툴, 프로덕트 애널리틱스 툴 등!
5-1 지표란? & Proxy 지표
지표란?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지표
매일/매주/매월 가입자, 활성 사용자, 매출, 리텐션율, 각종 전환율 등
신규 유저 획득(Acquisition), Activation(활성화), Engagement, Retention(지속적 이용), Monetization(수익화)
이런 지표들 중 모니터링할 지표 선정 및 tool 을 통한 대시보드화 or 스프레드 시트 활용
일회성으로 확인하는 지표
새로 만든 기능의 성과 지표 확인 - 의도한 바를 달성했는가
Proxy, ‘가정’이 들어가는 지표
뭔가(The Thing) 측정하고 싶은데, 직접 측정할 수 없다 → 대체물(Proxy)
(예시) 명확&구체적: 지난 7일 간 회원 가입한 유저 ‘가정’이 필요: 지난 7일 간 신규로 활성화된 유저
회사의 ‘핵심 가치’를 나타낼 수 있는 이벤트를 생각하기
어차피 ‘가정’이 들어간 이상 완벽한 지표라고 할 수 없지만, 지표를 개선함으로써 ‘성과’가 날 것임.
정확한 지표를 정의하는 것보다, 팀을 한 군데에 집중하도록 만드는 납득시킬 수 있는 ‘스토리텔링’과 ‘영향력과 리더십’이 중요함
5-2 Acquisition
충분히 많은 신규 유저/고객를 획득하고 있는가?
그들을 비용 효율적으로 획득하고 있는가?
CAC (고객 획득 비용): 마케팅 비용 등 채널별로 봐야 함
CLA (Customer Life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스타트업에서 의미 없음
Payback Period (비용 회수 기간):
고객 당 획득 비용을 언제 회수하나?
스타트업에 실용적인 지표
5-3 Activation
Activation이란?
신규 획득한 사용자들이
프로덕트의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습관을 형성하는 것
⇒ 초기 사용자 경험 매우 중요, 리텐션의 주요 인풋 중 Actiavtion이 가장 영향이 큼 (’모든 신규 사용자’가 대상이므로)
Setup → Aha → Habit Moment
모먼트는 감으로 정의하는 것이 아님. 장기 리텐션과 각 모먼트들의 상관관계 분석, 전환율 등 정량적 분석 반드시 필요
기본적인 통계 지식 필요 → 그래야 분석 가능함
Positive/Negative Predictive Value, Type-1/2 error, False negative 등
Setup: 핵심 가치를 경험하기 위한 ‘준비’를 마친 순간
Aha: 처음으로 ‘핵심 가치를 경험’하는 순간
Habit: ‘습관’을 형성하는 순간
⇒ 각 모먼트의 전환율 (ex. 신규 유저가 첫 3일 내 영상 컨텐츠 시청(aha) / 신규 유저가 첫 28일 내 화상 회의 4회 개최(habit))
회고
완강 후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회사에 직접 적용할 로드맵을 짜봐야겠다. 지금 자세하게 필기하는 것보다는 이런 예시가 있구나 정도 알아두고, 나중에 직접 적용해볼 때 다시 강의자료를 확인하며 해보는 것이 좋겠다.
회사의 핵심가치를 나타낼 이벤트는? 무엇일지 따로 생각하는 시간을 가졌다.
아직 저연차라 그런가 경영스러운 감이 있음. 4-2에서 언급한 모든 지표가 실제 회사에서 적용가능할지 모르겠음.
4-3) 지금은 회사 상황을 반영한 각 모먼트가 대략적으로도 그려지지 않음. ‘준비’랑 ‘핵심 가치 경험’ 순간까지는 강제적으로 해주는 편인 것 같은데.. 습관 형성을 위해 우리가 매주 2~3번 알림을 보냄. 관련 현황은 어떨지?
미션 해결
강의에서 소개한 지표를 제외해야 한다는 조건 때문에 마냥 쉽게 할 순 없었지만, 인터넷과 AI의 도움을 받아 완료할 수 있었다. 사실 회사엔 기본적인 데이터 분석 환경도 갖춰지지 않은터라 어떤 의사결정을 해야할지부터 할 게 많은데, 미션을 통해서 정리할 수 있는 기회였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