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 강의 25% 할인 중 🤍

2024년 상반기를 돌아보고 하반기에도 함께 성장해요!
인프런이 준비한 25% 할인 받으러 가기 >>

  •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데브옵스 · 인프라

  • 해결 여부

    미해결

사내 서버를 k8s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23.01.20 10:40 작성 23.01.20 10:40 수정 조회수 550

1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덕분에 k8s에 자신감이 생겨 이번에 사내의 기존 vm 환경의 서버들을 k8s로 변경하려고 합니다! (TF팀을 이끌게 됐습니다)

그런데
제가 타회사의 k8s 환경을 본 적이 없어서 어떤식으로 접근하고 구성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서버 한대를 노드 한대로 쓰는지 서버 한대에서 vm 여러대로 쪼개서 쓰는지

 

마스터는 몇개로 구성하는지? 이런 것 부터 뭔가 참고 할만한게 있으면 좋겠는데.. 어디 여쭤볼곳도 없고 아무리 찾아도 나오지 않습니다 ㅠㅠ

 

지금 강의보고 공부해서 사내에서 저 혼자 구성해서 쓰고 있는 k8s는 이 정도인데

클러스터.PNG파드.PNG이걸 확장시켜서 써도 되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뭔가 어떤식으로 접근하면 좋을지 감이 안잡혀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와 무관한 질문이라 죄송합니다 ㅠㅠ.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안녕하세요.

일단 정석은 없지만, 워커노드의 경우, 용량이 큰 베어메탈 서버를 가지고 있다면 (64core이상), VM(8~16core)으로 나눠서 쓰는 게 유리 합니다.

마스터 노드의 경우는 요구사양이 높지 않은 편이라, 워커노드 10대 이하 정도로 운영시 4core정도면 충분한 편이고요. 안정적인 관리를 위해서 이중화를 하면 좋은데, 인터넷에 [쿠버네티스 고가용성 구축], [Master node HA] 등으로 검색해보시면 많은 자료들이 있으니 참고하시면 됩니다.

그리고 master 갯수는 etcd 알고리즘 때문에 3개나 5개로 구성하는게 권장사항 입니다.

감사합니다.

 

조재현님의 프로필

조재현

2023.04.17

워커노드보다 마스터노드의 사양을 적게 잡는 것이 일반적인가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