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카테고리

    질문 & 답변
  • 세부 분야

    기획 · 전략 · PM

  • 해결 여부

    해결됨

3-3. 문제 정의 프레임워크 연습 문제

23.12.18 19:42 작성 23.12.18 19:42 수정 조회수 157

0

안녕하세요! 문제 정의 프레임워크 파트를 수강하면서 실습 문제 에 대한 두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문제: 우리 서비스에 접속하는 유저(DAU)는 비슷하나, 매출이 작년 대비 감소했다.

질문 1)

강의에서 상세 페이지 -> 장바구니 퍼널에서 작년 대비 올해의 매출 감소가 크다는 문제를 파악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차이를 알아보고 그 차이에 따라 Action을 도출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여기서 '차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해당 퍼널을 구성하는 기능이나 UI 등에서 작년 대비 올해에 변화가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일까요..? 이런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액션을 도출하는지 구체적인 예시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질문 2)

같은 문제에 대해서 강의 내용을 듣기 전에 제가 스스로 작성한 답변과 사고 흐름에 대해서 피드백과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같은 것들을 말씀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저는 '매출' = 활성 유저의 수 X 인당 매출액(구매액)으로 정의하고, 먼저 매출 감소의 원인을 기존 유저, 신규 유저로 나누어 보고 각각의 경우에서 활성 유저의 수 또는 인당 매출액이 감소한 경우로 나누어서 각각의 경우에 대한 Action plan을 도출해봤습니다.

여기서 기존 유저와 신규 유저로 먼저 나누어본 이유는 DAU가 전체 유저의 관점에서는 비슷할 수 있으나, 기존 유저, 신규 유저로 나누어 보면 활성 유저의 수가 작년 대비 변화했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작성하면서 고민이 되었던 점은 '활성 유저의 수'라는 지표에서 '활성'이라는 것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에 대한 의문이 들었고, 활성 유저의 수가 서비스에 '접속'하는 유저를 기준으로 정의하게 된다면, 접속하는 유저 중에서 매출을 일으키지 않는 유저들도 많을 텐데 매출을 '활성 유저의 수 X 인당 매출액' 으로 정의해도 괜찮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끝으로 아직 3단원까지만 들었지만 데이터 분석과 그로스 마케팅에 관심이 있는 취준생 입장에서 도움이 되는 내용이 많아서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ㅎㅎ 그 동안은 정말 데이터 그 자체만 보고 전처리나 모델링에만 집중한 적도 많았는데, 기계적으로 분석하는 게 아니라 여러 가지 질문을 던지고 스스로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갖게 해주셔서 좋은 것 같아요! 앞으로도 열심히 수강하고 질문도 자주 드리겠습니다 :)

 

 

 

 

 

 

 

답변 1

답변을 작성해보세요.

1

그레이스bb님 안녕하세요!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잘 공부하고 계시네요! 하나씩 말씀드릴게요

문제: 우리 서비스에 접속하는 유저(DAU)는 비슷하나, 매출이 작년 대비 감소했다.

질문 1)

강의에서 상세 페이지 -> 장바구니 퍼널에서 작년 대비 올해의 매출 감소가 크다는 문제를 파악했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 차이를 알아보고 그 차이에 따라 Action을 도출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여기서 '차이'라는 것이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해당 퍼널을 구성하는 기능이나 UI 등에서 작년 대비 올해에 변화가 있는지를 의미하는 것일까요..? 이런 차이에 따라서 어떻게 액션을 도출하는지 구체적인 예시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퍼널이 동일하다고 가정하고 차이를 확인해본거라고 생각해주시면 되어요. 특정 퍼널에서 평균 70%가 다음 퍼널로 이동하는데, 올해 데이터를 보니 50%라고 하면 20%p 차이가 나니까 이것은 문제가 아닐까?라는 질문을 던지고 이런 부분을 세부적으로 나누어서 분석하고 액션 아이템을 만듭니다.

강의 수강 기록을 확인해보니 아직 파트 3이시더라구요. 액션을 도출하는 과정을 파트 5에서 정리했답니다. 파트 5를 보시고 나서 또 궁금한 부분이 있으면 그 부분을 질문해주시면 어떨까요? 파트 5에서 프로젝트를 가정하고 이 부분에 대한 생각 전개를 합니다. 파트3은 방법론에 대한 개념 지식을 파악하는 시간이라고 보시면 되어요

질문 2)

같은 문제에 대해서 강의 내용을 듣기 전에 제가 스스로 작성한 답변과 사고 흐름에 대해서 피드백과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같은 것들을 말씀해주시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일단 저는 '매출' = 활성 유저의 수 X 인당 매출액(구매액)으로 정의하고, 먼저 매출 감소의 원인을 기존 유저, 신규 유저로 나누어 보고 각각의 경우에서 활성 유저의 수 또는 인당 매출액이 감소한 경우로 나누어서 각각의 경우에 대한 Action plan을 도출해봤습니다.

여기서 기존 유저와 신규 유저로 먼저 나누어본 이유는 DAU가 전체 유저의 관점에서는 비슷할 수 있으나, 기존 유저, 신규 유저로 나누어 보면 활성 유저의 수가 작년 대비 변화했을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작성하면서 고민이 되었던 점은 '활성 유저의 수'라는 지표에서 '활성'이라는 것을 어떻게 정의해야 할까?에 대한 의문이 들었고, 활성 유저의 수가 서비스에 '접속'하는 유저를 기준으로 정의하게 된다면, 접속하는 유저 중에서 매출을 일으키지 않는 유저들도 많을 텐데 매출을 '활성 유저의 수 X 인당 매출액' 으로 정의해도 괜찮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도 조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파트3을 들으시면서 이런 생각을 하셨다는 점이 놀랍네요. 이렇게 깊게 생각하셨다면 제 생각보다 더 강의를 잘 수강하고 계신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아요.
이 부분에는 파트4의 지표 파트를 들어보시면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우선 4-4의 Active User에서 활성을 어떻게 정의하는지에 대해 강의에서 다루고 있어요.

말씀하신 매출을 활성 유저의 수 x 인당 매출액이라고 해주셨는데 활성 유저의 수가 아니라 "제품을 구매한 유저 수 x 인당 평균 구매 금액"이어야 총매출이 나올거에요. 조금 더 구체적으로 정의하는게 필요하답니다. Active User는 회사에서 투자나 회사 차원의 지표에선 활용할 수 있으나, 지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면 덜 쓰이곤 합니다. 어떤 것을 한이란 개념으로 설명하고 있어요. 이 부분도 파트 4 보시고 궁금한 것이 있으면 말씀해주시면 어떨까 싶고, 나아가서 파트 9의 메트릭 하이라키도 보셔도 좋을 것 같네요

정리하면 강의를 너무 잘 듣고 계셔요! 바로 뒤의 파트에서 그레이스bb님이 생각하는 부분에 대해 다룬답니다. 파트4, 파트5를 들으시면서 또 고민이 생기면 그 부분에 대해 자세히 말씀해주시면 고민에 대해 같이 이야기 나눌 수 있을 것 같아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