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드맵 제목: 시스템 자동화(Automation)를 위한 앤서블(Ansible) 로드맵

130

로드맵 소개

강의를 처음 만든지 2년정도 지난 것 같습니다. 😊
그동안 이 강의를 기반으로 책도 만들고요. 앤서블의 지난 시간동안의 발전도 함께 보아 왔습니다. 

강의와 책의 서문에서 밝힌 것처럼, 다른(Chef,Puppet,SaltStack) 툴에 비해서 앤서블이 배포/관리를 위한 표준 🏛 으로 거의 자리를 잡은 것 같습니다. 따라서, 한가지를 꼭 선택적으로 배워야 한다면, 앤서블을 강력하게 추천드리고 싶습니다. 

우선, 프로그래밍의 지식이 거의 필요 없는 앤서블을 통해서 배포/관리의 자동화를 구축하시고, 그 이후에 필요에 따라서 파이썬(Python), 고(Go)를 추가로 배움으로서, 시스템 자동화의 깊이를 키우실수 있으실 겁니다. 

추가적으로 앤서블은 오픈소스에서 대량의 리소스가 배포되어 있는 프로젝트(오픈스택, 쿠버네티스 🎡등)의 경우, 배포/관리에도 기본적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일반 운영체제(Linux,Windows등) 및 네트워크 운영체제, 스토리지 운영체제등 관리를 할수 있는 거의 모든 운영체제에 사용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워두신다면 절대 손해될 것이 없으며, 또한 배우는데 며칠이면 개념이 익숙해지고 몇주면 모든 기능들을 자유롭게 사용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그만큼 학습곡선(Learning Curve 📜 )가 매우 낮습니다. 

획득 스킬

 

수강 대상

✅ 퇴근을 앞당기는 시스템 자동화를 꿈꾸는 엔지니어
✅ 데브옵스(DevOps)를 맛보고 싶은 엔지니어 
✅ 직원의 실수를 줄이고, 관리를 고도화하고 싶은 관리자
✅ 전사의 시스템의 관리를 일원화 하고 싶은 관리자
✅ 현업에 가기 전에 새로운 툴을 배워서 남과 다른 무언가를 보여주고 싶은 취업 준비생
✅ 인프라 엔지니어들이 어떤 고민을 하는지 궁금한 개발자  

선수 지식

✔️ 리눅스와 윈도우의 기본적인 커맨드 (예: cd, vi, cat 등)
✔️ 버추얼박스와 같은 툴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 
✔️ 기본적인 네트워크 지식 (예: 192.168.1.10과 192.168.1.101은 통신이 되는 것) 

코스 상세

커뮤니티

댓글 불러오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