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좋은 강좌 잘 듣고 있습니다.
스타벅스/이디야 매장의 합계수를 choropleth 에 표기하는 실습을 스스로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강사님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짠 뒤, '상호명'으로 칼럼명이 작성되었지만 실제로는 매장수의 합이므로 더 정확히 해주면 좋을 거 같다고 말씀해주셨는데요!
그 방법을 제가 해보기 위해 .reset_index() 및 칼럼이름 변경을 통해 아래와 같이 코드를 짰으며
df_cafe_gu = pd.DataFrame(df_cafe.groupby(['시군구명'])['상호명'].count()).reset_index()
df_cafe_gu.columns = ['구', '매장수']
df_cafe_gu
df_cafe_gu 를 통해 choropleth를 진행하였습니다...만 ㅜㅜ
(아래는 코드 _ In[154]: )
map = folium.Map(location=[geo_df['위도'].mean(), geo_df['경도'].mean()],
zoom_start=11)
map.choropleth(geo_data = geo_json,
data = df_cafe_gu['매장수'],
columns = [df_cafe_gu['구'], df_cafe_gu['매장수']],
fill_color = 'Purples',
key_on = 'feature.properties.name',
highlight=True)
map
위와 같이 검정색으로만 지도에 표기됩니다.
제가 choropleth의 data, columns에 대한 이해가 부족해서 생긴 것 같은데,
강사님이 사용하신 columns = df_cafe_gu.index
에서의 데이터타입과 제가 reset_index()를 사용해 재편한 데이터 프레임의 데이터 타입이 달라서인가요?
만약 재편된 데이터타입을 제대로 시각화하려면 어떤 방법을 써야하는지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구별로 구분된 json 파일과 분석된 내용을 연결해 주려면 index명이 구가 되어야 합니다.
말씀하신대로 위 코드에서 df_cafe_gu.set_index("구") 로 인덱스를 지정해 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답변이 늦었습니다. 궁금하신 점 있으시면 또 문의주세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