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러 질문이요
강의 도중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원인을 모르겠네요.
s s
1
4
req.user.id
댓글 등록하는 route에서 req.user.id하니까 id가 정의되어 있지 않다고 떠요... 근데 포스트 등록하는 데서 req.user.id는 작동해요... 포스트는 되는데 댓글에서는 에러가 나는데 이럴수도있나요??
둘다 req찍어보면 게시글 등록 하는 데서는 user객체가 있고 댓글등록하는 데서는 user객체가 없습니다...
passport에서 user관리하는 걸로 아는데 왜 같은 파일에 있는데 하나는 되고 하나는 안될까요??
Tallmurf
0
2
setCommentFormOpened 질문드립니다.
(PostCard.js)
/* onClick -> 댓글창 열고닫기 */
const onToggleComment = useCallback(() => {
console.log(commentFormOpened); // false
setCommentFormOpened(prev => !prev);
console.log(commentFormOpened); // false //
console.log(commentFormOpened);
if (!commentFormOpened) {
dispatch({
type: LOAD_COMMENTS_REQUEST,
data: post.id,
});
}
}, [commentFormOpened]);
여기서, setCommentFormOpened()를 했을때, commentFormOpened state가 즉시 true로 변하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console.log를 찍어보니 setCommentFormOpened() 앞뒤로 둘다 false가 떠서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pym7857
0
1
sequelize 의 associate method에 대해서
안녕하세요!
associate method로 추가시에 어디에 저장되는건가요?
예를들면 back/routes/post.js에 있는 코드중에
post.addComment(req.params.id)의 경우
이걸 db에서는 제가 못찾겠던데 (Post와 Comment테이블 두곳 다 봤을때 특별하게 추가된게 뭔지 모르겠습니다.)
1. 이렇게 추가되는건 어디에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건가요?
2. 그리고 이걸 안쓰면 어떻게 될까요?
stefan CHO
0
1
req에 대한 질문입니다.
상당히 기초적인 질문인 것 같은데요,
req.user
req.params
req.body
이런것들이 좀 헷갈립니다.
크롬 개발자도구에서 보면 response는 preview로 내용이 보이는데
1. req에 대한 정보는 안보이더라구요.. Headers 탭에서 Request Headers를 보면 위에 언급한 3가지가 없습니다.
2. 모든 req에 대한 정보는 백엔드에서 console.log로만 확인할 수 있나요??
3. req.user같은것을 생성한적이 없는 것 같은데 어디서 발생한건지 잘모르겠습니다.
혹시 관련 링크라도 있으면 부탁드립니다
stefan CHO
0
2
포스트가 존재하지 않습니다 에러가 납니다ㅠㅜㅠ
if(!post)에서 걸려서 404에러가 나요ㅠㅠ
console.log(post)찍어봐도 null이 나옵니다. 디비에는 잘 들어가 있는데 어디가 문제일까요??
생글탱글
0
5
backend 부분 router 코딩시에
안녕하세요.
router 부분에 /:id/comment 이렇게 해주셨는데
id를 body에 넣어서 보내줄수 있는 방법도있는데 /:id 처럼
쿼리문으로 작성시에 이점이 궁금합니다.
아니면 상관없는데 제로초님 코딩스타일인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jfmam
0
1
질문이요
const onToggleComment = useCallback(() => {
setCommentFormOpened(prev => !prev);
//댓글창 열었을 때 그 포스트의 댓글들을 불러온다.
console.log(commentFormOpened);
if (!commentFormOpened) {
dispatch({
type: LOAD_COMMENTS_REQUEST,
data: post.id,
});
}
}, []);
이부분에서 댓글창 열릴때만 불러오는줄 알았는데
console.log(commentFormOpened)를 로그를 찍어본 결과
계속 false가 나오더라고요
혹시 [] 부분에 [commentFormOpened] 라고 작성해야하는건가요??
s s
0
1
댓글 입력할때 타입 에러가 발생해요
reducer code
case ADD_COMMENT_SUCCESS: {
const postIndex = state.mainPosts.findIndex(v => v.id === action.data.postId);
const post = state.mainPosts[postIndex];
const Comments = [...post.Comments, action.data.comment];
const mainPosts = [...state.mainPosts];
mainPosts[postIndex] = { ...post, Comments };
return {
...state,
isAddingComment: false,
mainPosts,
commentAdded: true,
};
}
const Comments = [...post.Comments, action.data.comment];
git: https://github.com/hyunsokstar/node_bird_33
https://github.com/hyunsokstar/node_bird_33/blob/master/front/reducers/post.js
https://github.com/hyunsokstar/node_bird_33/blob/master/front/components/PostCard.js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를 몰겠어요
const postIndex = state.mainPosts.findIndex(v => v.id === action.data.postId);
에 아이디가 없나 해서 찾아봤는데 그것도 아닌거 같아요
terecal
0
1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이번에도 또 에러때문에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죄송..
현재 6-6 댓글 작성,로딩 강의를 진행했는데요, 게시물의 댓글버튼을 누르면
TypeError: mainPosts is undefined
라는 에러창이 뜹니다. reducer 의 mainPosts에 이상한 값이 들어갔다는 소리같은데.. 일단은 제로초님의 코드와 비교도 해봤구요 redux devtool을 확인해보면 LOAD_COMMENTS_SUCCESS도 확인이 됩니다.
혹시나해서 PostCard.js 에서
const onToggleComment = useCallback(() => {
setCommentFormOpened(prev => !prev);
if (!commentFormOpened) {
dispatch({
type: LOAD_COMMENTS_REQUEST,
data: post.id,
});
}
}, []);
if (!commentFormOpened) {
dispatch({
type: LOAD_COMMENTS_REQUEST,
data: post.id,
});
}
이 부분을 지우고 다시 진행을 해보면 댓글창은 뜨고, 댓글 추가 시 redux devtool은 ADD_COMMENT_FAILURE를 출력, saga post.js 에서 addComment 에 추가한 consol.error(e); 를 확인해보면
TypeError: "Invalid attempt to spread non-iterable instance"
_nonIterableSpread nonIterableSpread.js:2
_toConsumableArray toConsumableArray.js:5
reducer post.js:106
combination Redux
y (index):1
h (index):1
b (index):1
dispatch Redux
e (index):1
Redux 12
라는 콘솔에러를 출력합니다. 저 에러는
const Comments = [...post.Comments, action.data.comment];
이 부분을 가르키고 있긴한데...
어떤 부분을 다시 확인해봐야 할까요??
https://github.com/ljg0230/nodebird_ljg/tree/hotfix_1
이정걸
0
6
질문이요
1.
강의에서,
코멘트가 DB에 제대로 들어갔음에도 불구하고,
ADD_COMMENT_FAILURE 로 떴잖아요.
그런데 case LOAD_COMMENTS_SUCCESS를 리듀서 에서 정의해주자, ADD_COMMENT_SUCCESS 가 됬다고 되는데, 도대체 이 둘이 무슨 상관이 있는건가요... ?
2. 강의에서 늘 불변성이 라고 언급하시잖아요.
이 불변성이 이전의 값들은 건들이지 않고 새롭게 추가된것들 추가하는게 불변성이 맞는건가요?
hsjo12
0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