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비스 고도화 관련 질문
4일 전
새로운 서비스 만드는것 말고 서비스 고도화하는 방법론에 대해 자세히 나온 참고 도서나, 아티클 같은게 있을까요?
UX 원칙 질문
13일 전
17가지 UX 원칙을 영어로 알수 있을까요?
NN/G에서 나온 Heuristic evaluation 으로도 다 커버가 안되서.... 따로 쓰이는 영문 용어가 있나 해서 여쭤 봅니다.
MVP 관리하는 법 질문
13일 전
주로 MVP 플로우 다이어그램 작성하실때 어떻게 관리하시나요? 메인 테스크 플로우가 있고, MVP는 더 디테일하게 개별 테스크별 플로우까지 (예를 들면 에러 메시지 포함) 다 들어가는데 그걸 한 군데에 다 보관하면 한눈에 어디있는지 보기에야 좋겠지만 어마어마한 용량과 정보량때문에 관리가 용이하지는 않을거 같아서요. 또 따로 떼서 보관하자니 나중에 다 뿔뿔히 흩어져서 찾기도 어렵고 그렇더라구요.
어피니티 다이어그램 질문입니다.
28일 전
동영상에 8:12에 나온 포스트잇들은 고객의 소리를 직접 받아 적은건지, 아니면 속성만 뽑아 다시 적은 건지 궁금하구요.
8:40에 나온 표는 그럼 다시 적은 속성 포스트잇을 바탕으로 만들어 진건지, 아니면 포스트잇 그루핑을 한 후에 적힌 그룹명(상위 포스트잇)을 배열한건지 궁금합니다.
Contextual Inquiry 한 자료는 어떻게 정리 하나요
28일 전
인터뷰한 자료는 녹취록을 바탕으로 질문별 raw data를 스프레드 시트에 만든다고 하셨는데, 그럼 Contextual inquiry 한 자료는 어떻게 정리하나요?
사전 방지성의 원리 질문
4달 전
안녕하세요,
사전 방지성의 원리에 대해 간단히 언급하셨는데요, 실제 업무현장에서 중대한 오류에 대한 정의가 디자이너마다 또는 팀원마다 달라서 사전방지성의 원리를 적용하는데 어려움을 겪은적이 있습니다. 모든 데이터와 관련된 사용자 행위에 예 아니오 팝업 모달을 보여줄수는 없는 노릇이니까요... 예를들면 프로필 페이지에서 이름을 적는 입력창에 이름을 쓰고, 저장을 하지 않은채 뒤로 가기 버튼을 누르면 궂이 팝업까지 보여주면서 정보 유실을 막아야 하는가에 대해 팀원 A는 그렇다고 하고 팀원 B는 아니라고 하는 경우가 종종 생기더라구요.
아무튼.... 이렇듯 중요한 정보에 대한 정의가 사람마다 다른데, 뭐가 중요한지 안한지는 어떻게 판단하는게 좋을까요? 이름 입력란 하나 구현하는데 100명을 인터뷰 하는것도 오버니까요....
UX.UI
6달 전
UX와 UI의 차이점도 이해가 가고 UX는 UI보다 더 큰 개념이라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UX는 유용성에 더 가까운 것을 제공하는 것이고 UI는 편의성 즉 사용성에 더 가까운 것을 제공하는 것이라고 생각해도 될까요?
와이어프레임과 low Fidelity
6달 전
프로토 타입 중에 low fidelity가 있다고 설명하셨는데, 와이어프레임도 더블다이아몬드 모델 중에 첫번째 다이아몬드에서 화면 구성을 간단하게 하는 거라고 알고 있어요
그럼 와이어프레임과 low fidelity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커서도 반응성의 하나라고 볼 수 있나요?
8달 전
커서가 기존에 화살표 모양이였다가 클릭을 할 수 있는 곳에 올렸을 때 손바닥 모양으로 변하는 것도 반응성에 하나라고 볼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