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ctor님의 프로필 이미지

수강평 10

평균평점 4.8

16% 수강 후 작성

어느정도 지식이 있으면 듣기 편안함. 단, 단위테스트코드에서 로그찍기로 눈으로 확인하는 방식이라거나, modify 메소드에서 repo.save를 호출한다거나 하는 개인스타일이 반영된 코드(?)가 많아 적절히 자신에 스타일에 맞게 녹여내기에 초보들은 어려워보임. 이런 방식으로 짜는 사람도 있구나 오 저건 좋아보이네 하는 것들을 걸러서 흡수할 정도 지식이 된다면 복습으로 상당히 좋은 강의

구멍가게코딩단님의 프로필 이미지
구멍가게코딩단
지식공유자

정상적으로 만드는 상황이라면 modify 시에 save( )를 할 필요는 없습니다(더티체크) 더티 체크가 되려면 해당 엔티티 객체는 영속 상태임을 보장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런데 간혹 다른 개발자들과 작업하다 보면 아래와 같은 코드를 볼 때도 있습니다. @Transactional // 해당 트랜잭션 경계와 연결되는 영속성 컨텍스트와 무관한 user 엔티티 public void saveRefreshToken(User user, String newRefreshToken) { ... user.setRefreshToken(newRefreshToken); ... } 이런 경우 User객체는 더티 체크 대상이 아니게 됩니다. 이런 상황들을 대비하기 위해서 save( )를 하는 것이 안티 패턴은 아니라고 생각했습니다. -------------------------- ChatGPT Spring Data JPA에서는 엔티티의 상태를 변경하는 방법으로 두 가지 주요 접근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변경 감지(dirty checking)와 save() 메서드 사용입니다. 각각의 방법은 특정 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습니다. 아래에 각 방법의 장단점과 사용 사례를 설명하겠습니다. --------------------. 결론 어떤 방식을 사용할지는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변경 감지는 간단하고 작은 트랜잭션에 적합하며, 명시적 저장 방식(save())은 명확하고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 포함된 대규모 트랜잭션에 적합합니다. 일반적으로 실무에서는 두 가지 방식을 혼용하여 사용합니다. 단순한 CRUD 작업에는 변경 감지를 사용하고, 복잡한 비즈니스 로직이 필요한 경우에는 save() 메서드를 사용하여 명시적으로 관리합니다.

오 그런상황도 있군요 또 배워갑니다 감사합니다

코드로 배우는 React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썸네일
구멍가게코딩단

·

98강

·

882명 수강

코드로 배우는 React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썸네일
구멍가게코딩단

·

98강

·

882명 수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