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지표 정의 연습문제
안녕하세요 카일스쿨님! 저는 카일스쿨님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대학생입니다! 확인해주시고 제가 생각하지 못한 부분 피드백 해주시면 너무 감사하겠습니다! 1. 배너 영역, 메뉴 카테고리, 이런 음식 어때요, 동네 맛집 기능이 잘 동작하고 있는지 확인 하려면 어떤 지표를 확인 해야 할까요 ?각 목록마다 잘 작동한다는 것이 무엇인지 정의하고 이를 판단할 수 있는 지표를 생각해보자(1) 배너 영역잘 작동한다 -> 홈 화면에 들어왔을 때 배너를 많이 클릭한다.판단 지표-> 배너 CTR (배너를 클릭한 수 / 홈 화면에 들어온 수 )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가 있을까 ? -> 없음 (있다 하더라도 CTR 보다 직관적이지 못함) 지표 판단 기준 -> 배너 CTR 값 중에서 분모에 해당하는 홈 화면에 들어온 수가 충분하다는 가정 하에 "CTR값이 클 수록 배너가 잘 작동된다" 라고 판단할 수 있다. (2) 메뉴 카테고리잘 작동한다 -> 홈 화면에 들어왔을 때 카테고리를 많이 클릭한다.판단 지표 -> 카테고리 CTR (카테고리를 클릭한 수 / 홈 화면에 들어온 수)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가 있을까 ? -> 있음 카테고리 분류가 마음에 들지 않는다면 고객 일반적으로 검색창을 누를 것이라 예상된다 따라서 검색창 CTR(검색창을 클릭한 수 / 홈 화면에 들어온 수) 을 활용하여 카테고리 CTR과 값을 비교해본다. 만약 검색창 CTR 값이 카테고리 CTR 값보다 크거나, 작더라도 큰 차이가 없다면 "카테고리 CTR이 잘 작동하지 않는다라고" 판단할 수 있고 이는 보조 지표로서 활용할 수 있다. 지표 판단 기준 -> 카테고리 CTR 값 중에서 분모에 해당하는 홈 화면에 들어온 수가 충분하다는 가정 하에 "CTR값이 클 수록 카테고리가 잘 작동된다" 라고 판단할 수 있다. (3) 이런 음식 어때요 잘 작동한다 -> 홈 화면에 들어갔을 때 이런 음식 어때요를 처음으로 클릭한다. + 이런 음식 어때요 를 클릭하여 구매로 전환된다. 이런 음식 어때요 버튼은 아직 배달 음식을 정하지 않았거나 배달 주문 의사가 명확하지 않은 고객들을 대상으로 맞춤 음식 추천을 제공하는 기능이다. 홈 화면에 들어가자마자 고객에게 매력적인 선택지를 제시하는 것이 핵심이며, 최종적으로 추천을 통해 구매로 전환하는 것이 목적이라 할 수 있다. 판단 지표 -> 음식 어때요 First CTR(이런 음식 어때요를 처음 클릭한 수 / 홈 화면에 들어온 수), 구매 CVR (이런 음식 어때에서부터 구매 완료 페이지로 전환된 수 / 이런 음식 어때 클릭한 수)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가 있을까 ? -> 없음지표 판단 기준 -> 음식 어때요 CTR 값 중에서 분모에 해당하는 홈 화면에 들어온 수가 충분하다는 가정 하에 "first CTR 값이 크고 구매 CVR이 클 수록 이런 음식 어때요 가 잘 작동된다" 라고 판단할 수 있다. (4) 동네 맛집 기능 잘 작동한다 -> 동네 맛집 기능의 재사용률이 높다. 동네 맛집 기능은 이런 음식 어때요 과는 달리 충동적인 선택을 유도하는 것이 아니라. 고객에게 동네 맛집을 정확하게 잘 추천해 주는지 것에 대해 초점을 맞춘다. 즉 기능적인 부분이 중요한 버튼이므로 이 기능이 좋다고 판단된다면 고객은 이 기능을 반복적으로 사용하고 신뢰할 것이다. 판단 지표 -> 동네 맛집 기능 Retention (동네 맛집 기능 재사용자 / 동네 맛집 기능 사용자) 사용자 기준 : 동네 맛집 기능으로 구매한 사용자 재사용 기준 : 고객이 바로 다음 주문에도 이 기능을 사용한다면 재사용자이다. 추가로 사용할 수 있는 지표가 있을까 ? -> 동네 맛집 기능 CTR을 보조 지표로 활용해도 좋겠다.지표 판단 기준 -> 모수가 충분하다는 가정 하에 "동네 맛집 기능 Retention 값이 크고, CTR 값이 클 수록 동네 맛집 기능이 잘 작동된다" 라고 판단 할 수 있다. 2. 고객이 검색 기능에 만족했지 확인하려면 어떤 지표를 봐야 할까요 ?검색의 결과가 불만족스럽다면 고객의 할 행동을 예상해봐야 한다. 재 검색한다. -> 자신이 원하는 결과가 나올 때까지 재 검색 할 것이다. 이때 재 검색이란 처음 검색했던 검색과 유사한 검색을 count 한다. 검색 창을 이탈한다 -> 검색 창에서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는다고 판단될 땐 검색 창을 이탈할 것이다. 재 검색한 횟수와 검색 창을 이탈하는 정도를 파악하여 불만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 재 검색 횟수가 많을 수록, 검색 창에서 이탈자 비율이 높을수록 검색기능에 불만족한다.검색의 결과가 만족스럽다면 고객의 할 행동을 예상해봐야 한다. 1. 검색 창으로부터 곧바로 구매까지 전환이 이뤄질 것이다. 검색 CVR 지표(검색창에서 구매 수 / 검색 창에 들어온 수) 를 활용하여 만족의 정도를 파악할 수 있다. -> 검색 CVR 의 값이 클 수록 검색 기능에 만족한다. 3. 검색 필터 기능은 잘 사용되고 있을까요 ? 필터 기능의 활성화 지표를 정의하면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검색 필터 기능의 활성화 여부는 검색필터CTR (검색 필터 클릭 수 / 검색 창에 들어온 사용자 수) 를 사용하여 간단하게 활성화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다. 4. 배달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지표는 무엇일까요 ? 왜 그 지표가 중요할까요? 그것을 어떻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을까요 ? 배달 서비스는 사용자와 음식점 사이에서 서비스를 중개하는 플랫폼 사업이다. 플랫폼 사업은 수요를 담당하는 사용자의 역할이 핵심적이다. 만약 배달을 이용하는 사용자가 충분하지 않다면 음식점도 플랫폼을 이용할 이유가 없어지고 회사의 운용자체가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배달 서비스가 가장 신경써야 할 부분은 기존 사용자의 유지와 신규 사용자의 확장이다.이를 확인하기 위해선 DAU (전체 사용자 수 - 휴먼 계정수) 를 사용할 수 있다. DAU를 늘리기 위해서는 2가지 방안이 있다.휴먼 계정을 줄임 -> 휴먼 계정이 된 사용자에게 복귀 쿠폰 제공 다른 플랫폼에 대비 많은 이벤트를 활성화신규 사용자의 확장 -> 신규 주문 시 할인 쿠폰 제공 친구 초대 시 할인 혜택 제공설령 위 방법이 단기적으로 많은 적자를 불러올 지라도 위 방법을 통해 배달 서비스의 본질인 고객을 독점할 수 있다면 궁극적으로 사업을 성장 시킬 수 있다.뿐만 아니라 리텐션을 유지 시키는 것도 매우 중요한데 배달 주문을 평균적으로 일주일에 한번 씩 한다고 유추해 볼 때 주 별로 리텐션을 확인하며 관리할 필요가 있다. 기존 사용자에게 꾸준한 구매를 유지 시키려면연속적 주문에 대한 혜택을 부여하는 방식으로 관리하면 좋을 것 같다.5. 추천 알고리즘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어떤 지표를 파악해야 할까요 ? 왜 해당 지표일까요 ?문제 1번의 이런 음식 어때요? 버튼과 유사한 상황이라 생각됩니다.파악해야할 지표 -> CTR (추천 받은 아이템 클릭 수 /추천 페이지에 접근한 수), CVR (추천 아이템으로부터 구매완료까지 전환된 수 / 추천 받은 아이템 클릭 수)해당 지표인 이유 -> 추천 알고리즘의 목적은 사용자에게 알맞는 제품을 추천하여 최종적으로 구매까지 유도하는 것이다. 따라서 CTR을 이용한 클릭지표는 추천 알고리즘이 사용자에게 관심있을만한 제품을 추천하였는지를 1차적으로 평가할 수 있고 CVR을 이용한 구매 전환율은 추천 알고리즘이 사용자에게 궁극적으로 구매를 유도하게 하였는지에 대한 2차적 평가를 내릴 수 있기 때문이다. 6. 여러분들이 자주 사용하는 서비스에서 제일 중요한 지표는 무엇일까요? 왜 해당 지표가 제일 중요할까요 ? 자주 이용하는 서비스 : 유튜브(YOUTUBE)유튜브의 수익구조는 크게 광고와 구독으로 나눌 수 있다. 광고에서 중요한 지표 CTR개별화된 광고 알고리즘의 성능을 파악하는 것은 곧바로 수익구조와 연결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할 것이다. 따라서 광고 카테고리 별로 CTR 을 파악해서 알고리즘이 잘 작동하고 있는지 확인해야한다.구독에서 중요한 지표DAU구독자 수를 파악하는 것 역시 구독 서비스의 성능을 파악하기 가장 적절하다 생각된다. 유튜브 프리미엄의 구독은 월 단위로 갱신되지만 각 개인이 갱신하게 되는 일자는 다르기 때문에 MAU보다 DAU를 확인할 필요가 있다. 7. 퍼널 개선 프로젝트온보딩이 적용되지 않은 가입 프로세스와 온보딩을 더 진행하는 기능이 적용된 가입 프로세스를 비교해보기 위해 A/B 테스트를 활용해야한다. 만약 기능 추가 후 프로세스가 기존 프로세스보다 더 높은 전환율을 보인다면, 즉 기능을 추가하여 높은 전환율을 보인다면 그대로 적용한다.만약 기존 프로세스가 기능 추가 후 프로세스보다 더 놓은 전환율을 보인다면, 즉 기능을 추가 한 것이 오히려 낮은 전환율을 보인다면 온보딩 기능의 내용을 다시 확인해보거나 전환율을 높이기 위한 다른 방법을 모색할 것이다. 아직은 부족한 개념으로 열심히 생각해 봤습니다 ...! 부족한 점이 많을 테니 소중한 피드백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미해결노션사용법 - 조직이 노션을 쓰기 위해 알아야 할 모든 것
템플릿 사이트 접속불가
주소도 밑에 안나오고 사이트도 접속불가라고 나옵니다. 페이지를 찾을수없음이라고 나오네요
-
미해결레트로의 유니티 C# 게임 프로그래밍 에센스
궁금한 부분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
안녕하세요 시간이 많이 흐른 지금도 보실지는 모르겠지만 강의 중에 궁금한게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Physics.OverlapSphere 을 사용하면 공격 대상이 빠르게 움직이면 공격을 받지 않는다고 하셔서 Physics.CastSphere 이걸 사용하셔서 움직인 궤적 사이에 겹치는 물체를 감지 해서 공격이 가능하게 구현을 하셨는데 만약에 좀비가 공격을 할때 플레이어가 움직이면서 피하고 데미지를 받지 않게 하려면 Physics.OverlapSphere이걸 써서 그냥 구현하면 되는건가요?
-
미해결시니어 백엔드 개발자가 알려주는 데이터베이스 개론 & SQL
SQL NOT EXISTS사용과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16:18 정도에 나오는 2000년대생이 없는 부서의 id와 name을 찾는 것에서 아래와 같이 쿼리를 하셨는데요:mysql> SELECT D.id, D.name -> FROM department AS D -> WHERE NOT EXISTS ( -> SELECT * FROM employee E -> WHERE D.id = E.dept_id and E.birth_date >= '2000-01-01'); 위의 쿼리를 다음과 같이 바꾸니 아무런 결과가 출력되지 않고 Empty set이라고 나옵니다.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두 쿼리에서 다른점은 빨간 글씨로 써놨는데요. subquery에서 department를 다시 D로 한번 불러준 것 외엔 없습니다. mysql> SELECT D.id, D.name -> FROM department AS D -> WHERE NOT EXISTS( -> SELECT * FROM employee E , department D -> WHERE D.id =E.dept_id AND E.birth_date >= '2000-01-01');Empty set (0.00 sec) 감사합니다.
-
미해결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테스트 코드 작성 중 AssertionError 발생
테스트 코드 작성에서 오류가 뜨는데 어떤 오륜지 잘 모르겠습니다.beforeAll() 함수에서는 Assertions 임포트 잘 되는거같은데 테스트 시작이 안되네요..
-
미해결그림으로 쉽게 배우는 운영체제
고정 분할 방식에 질문입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고정 분할 방식과 가변 분할 방식의 단점을 최소화한 버디시스템이 최고의 메모리 분할 방식인지 찾아보다 페이징 기법을 알게되었는데 페이징 기법의 방식이 고정 분할 방식과 유사한점이 많은거 같아 고정 분할 방식은 메모리를 나눈 후 프로세스를 맞춰 넣는 방식페이징은 프로세스를 나눈 후 메모리에 퍼즐처럼 넣는 방식 이렇게 요약이 되었는데강의영상 2:47초쯤에 말씀해주신 프로세스C를 예로들면 고정 분할방식은 메모리를 나누고 프로세스는 나누지 않기때문에 할당이 불가능한데 해당 영상은 프로세스 C가 나눠지면서 할당되는걸 보면 해당 기법은 페이징 기법을 사용한건가요???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완벽한' 프론트엔드 코스
학습한 내용 이미지와 코드를 블로그에 올려도 되나요??
학습한 내용 이미지와 코드를 블로그에 올려도 되나요??
-
해결됨카카오 코테 6주 합격! 실전 파이썬 코딩테스트
안녕하세요, print 방식에 대해 문의드립니다.
import sys my_input = sys.stdin.readline N = int(my_input()) [print(sum(list(map(int, my_input().split())))) for _ in range(N)]와 같이 리스트 컴프리헨션 내부에서 바로 print 되도록 코드를 작성했는데,일단 백준 기준으로는 통과가 됐지만 위와 같이 한줄 입력 시 바로 한줄이 출력이 되고 있어서요혹시 나중에 이런식으로 작성할 때 문제가 되는 경우가 있을까요?
-
해결됨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앱 정지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좀비님~!저는 정보를 한 곳에 모아주는 서비스를 만들어보고자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있는데요.웃긴 짤들을 모아서 서비스하는 앱을 만들려고 합니다.그런데 혹시 이것이 컨텐츠 무단 도용에 해당되는 걸까요? 어떻게 판단하면 되는 걸까요?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pplication.yml이랑 application.properties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별로 중요한 질문은 아닐 수도 있는데이 강의에선 application.yml을 사용하시고, 이후에 찍으신 강의인 스프링 로드맵에선 항상 application.properties를 사용하셨던 거 같은데요즘엔 현업에서 뭘 더 선호하나요? 김영한 님이나 서포터즈 분들은 어떤 걸 더 선호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350개의 개인 앱을 만들어 월급의 7배 수익을 달성한 방법
SDUI 클라이언트
안녕하세요 프로그래밍좀비님!!client쪽이 잘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있습니다! 일단 postman을 통해 데이터들을 다 세팅하는건 이해했습니다!그런데 앱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있고 그걸 앱에서 보여줘야하는데페이지 이동, 이벤트발생시키는 인터렉션, 등등 경우의 수가 무수히 많을거라고 생각이 듭니다!! sdui방식이라는게 오직 하나의 클라이언트 코드에 build시 앱 아이디만 바꿔끼우는 아이디어라고 생각이 됩니다!궁금한것은,, 좀비님께서 시스템을 만드신게 api호출 => 앱 뚝딱 이게 맞는건지 헷갈립니다.카테고리처럼 몇가지 앱의 뼈대를 정해두고 그에 맞는 범위 내에서만 사용가능하도록 뼈대를 만든건가요?!ps. 그리고 진짜 엄청난 광기마저 느껴지는 강의였습니다.. 강의자료도 1800페이지... 감사감사합니다!! ^^7
-
해결됨코딩없이 시작하는 엑셀 크롤링. WEB부터 ChatGPT API까지
함수를 이용한 페이징 처리_함수 오류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그런데 함수를 만드는 과정에서함수의 식별자가 잘못됐다고 하는데, 어떤 부분을 고치면 좋을지 모르겠습니다혹시 어떤 부분을 고치면 오류를 수정할 수 있을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코드 누락 제보
안녕하세요 강사님깃헙 파일에서 누락된 코드를 확인하였습니다.https://github.com/winterlood/onebite-next/blob/main/section07/chapter03/src/components/review-editor.tsx [변경 전]<input name="bookId" value={bookId} hidden /> [변경 후]<input name="bookId" value={bookId} hidden readOnly/>
-
해결됨
슬라이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위의 이미지에 질문을 넣었습니다.강의명은 UIUX 포트폴리오 Part.3 - 반응형 웹 포트폴리오 입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comment에서 findParent 질문드립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findParent 메서드에서 return문을 보면 getDeleted로 부모 댓글이 삭제됐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코드가 있는데, 부모가 삭제됐을때를 체크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부모 댓글이 삭제됐을 때, 더이상 하위 댓글을 달 수 없도록 하기 위함인가요? 하위 댓글이 남아있는 이상 부모 댓글은 "삭제됐습니다"와 같이 표시만 할 뿐이고 db에서 삭제되지는 않더라도 deleted=true로 바뀌어 있을텐데 만약 부모 댓글이 삭제됐을때 하위 댓글을 추가로 달 수 없는게 아니라, 계속해서 하위 댓글을 달 수 있다면 부모 댓글이 삭제된 상태라 하더라도 create 메서드를 실행할때 부모 댓글의 id를 넣어도 문제 없지 않은가라는 의문이 들어서요 create 메서드를 보면 parent가 null이라면 부모댓글이니까 null을 넣고 하위 댓글이라면 findparent에서 찾은 부모 댓글의 id를 넣어주는 코드인데, 부모 댓글이 deleted=true로 바꼈다 할지라도 DB 자체에서 완전히 삭제되지 않은 이상 즉, 하위 댓글이 여전히 남아있는 상황이라면 deleted=true로 바뀐 부모 댓글의 id를 넣어줘도 되지 않나?라는 생각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
일러스트의 "gif 애니메이션"을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UIUX 포트폴리오 Part.3 - 반응형 웹 포트폴리오" 강의에서"섹션2"에 있는 일러스트의 "gif 애니메이션"을 어떻게 만드셨는지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유투브, 구글, 네이버에서 관련 강의를 찾아봤는데, 못 찾았어요.만약 관련 강의를 아신다면, 알려주셔도 될 것 같습니다.답변 주세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o 모듈러 연산 질문
"모듈러 연산은 마지막에 한 번만 수행하는 것과 중간중간 수행하는 것이 결과적으로 동일하다."라는 설명은, 아래 모듈러 연산의 성질을 이용하여 a를 cnt, b를 1로 가정했을 때를 의미하는 것인가요?1. [(a mod n)*(b mod n)] mod n = (a*b) mod n"덧셈과 곱셈으로 이루어진 연산에서 cnt %= n을 수행하면 된다" 라는 설명이 다소 헷갈려 질문드립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no-unused-vars 에러가 발생합니다!
5.1)실습 준비하기 강의에서 "no-unused-vars":"off",입력하여 기능을 끈다고 하셨는데코드를 입력하니까 Duplicate key 'no-unused-vars'. 라고 에러가 발생합니다.어떻게 해결해하나요??
-
미해결쿠버네티스 어나더 클래스-Sprint 1, 2 (#실무기초 #설치 #배포 #Jenkins #Helm #ArgoCD)
그라파나 접속안됨요.
[Sprint1]실무에서 느껴 본 쿠버네티스가 정말 편한 이유 > 모니터링 설치 - Loki-Stackaver.com/kubeops보고 그대로 따라 했고pod, serivce도 노드포트로 잘 떠있는데대시보드는 잘 들어가 지는데 그라파나는 안들어가지네요? 그라파나 로그를 보니logger=provisioning.plugins t=2025-03-14T08:35:36.026484731Z level=error msg="Failed to read plugin provisioning files from directory" path=/etc/grafana/provisioning/plugins error="open /etc/grafana/provisioning/plugins: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렇게 뜹니다.
-
미해결기초부터 배우는 Next YTMusic 클론 코딩 (with next.js 14, UI 마스터)
에러, 로딩 내용 페이지를 모든 페이지에 다 만드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에러나 로딩을 전역적으로 상태로 봐서 에러나 로딩을 띄우는게 아닌, 페이지별로 전부 다 복붙으로 넣는 이유가 따로 있나요..? 일단 따라해보고있긴 한데, 뭔가 좀 아닌것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ㅠ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