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2주차] CS 발자국 제출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재귀함수

  • 재귀 함수란, 함수 내에서 자기 자신을 호출하는 함수를 의미한다.

    재귀 호출을 멈추는 조건(기저 조건)이 반드시 있어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호출이 무한히 반복되어 스택 오버플로우가 발생할 수 있다.

 

운영체제

  • 임계 구역: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접근하면 안 되는 영역.

    • 임계 구역에는 동시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할 수 있다.

    • 여러 요청이 들어와도 한 번에 하나의 프로세스만 접근할 수 있도록 제한해야 한다.

    • 임계 구역에 들어간 프로세스는 가능한 한 빠르게 종료해야 한다.

    세마포어: 정수형 변수로, wait()signal() 함수를 이용해 프로세스 간 접근을 조율한다. 선점한 프로세스가 작업을 끝낼 때까지 다른 프로세스는 대기한다.

     

    교착 상태: 여러 프로세스가 공유 자원을 서로 점유한 채 기다리면서 정체된 상태.

    교착 상태 해결 방법

    • 교착 상태가 발생하면 일부 프로세스를 강제 종료하고, 필요하면 이전 상태로 롤백한다.

    •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자원 할당 순서를 정하거나, 한 번에 모든 자원을 할당받도록 한다.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