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1주차 미션-

1. 여러분은 교실의 학생 정보를 저장하고 열람할 수 있는 관리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이때 여러분이라면 학생의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자료구조를 어떤 걸 선택하실 건가요? 이유를 함께 적어주세요.

 해시테이블을 이용할 것입니다.

해시테이블은 해시 함수를 통해 입력값으 key를 받아 고유한 값을 index로 변환시켜 테이블에 저장하는 자료구조이다.

O(1)의 시간 복잡도를 가지며, 삽입 삭제 조회가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으로 학생의 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


2. 여러분은 고객의 주문을 받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려고 합니다. 주문은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됩니다. 이때 여러분이라면 어떤 자료구조를 선택하실 건가요? 이유를 함께 적어주세요.

큐(Queue)를 사용할 것입니다.

이유는 주문은 먼저 들어온 순서대로 처리되기 때문에 이는 큐의 특징인 FIFO(First In First Out)와 같기 때문입니다.

 


3. 우리가 구현한 스택은 0번 인덱스, 즉 입구쪽으로 데이터가 삽입되고 나오는 구조입니다. 반대로 마지막 인덱스, 즉 출구쪽으로 데이터가 삽입되고 나오는 구조로 코드를 변경해주세요.

class revStack {
    constructor() {
        this.list = new LinkedList();
    }

    push(data){
        this.list.insertTail(data);
    }

    pop() {
        try {
            return this.list.deleteTail();
        } catch (error) {
            return null;
        }
    }

    peek() {
        return this.list.getNodeAt(this.list.count-1)
    }

    isEmpty() {
        return this.list.count === 0;
    }

    printAll() {
        this.list.printAll()
    }

}

revStack.push(1);
revStack.push(2);
revStack.push(3);
revStack.push(4);

reverseStack.printAll();

console.log(revStack.pop().data);
console.log(revStack.pop().data);
console.log(revStack.pop().data);
console.log(revStack.pop().data);

4. 해시테이블의 성능은 해시 함수에 따라 달라집니다. 수업 시간에 등번호를 이용해 간단한 해시 함수를 만들어봤습니다. 이번엔 등번호가 아닌 이름을 이용해 데이터를 골고루 분산시키는 코드로 수정해주세요.

hashFunc(name){
  return name.charCode(0)
}
function hashFunc(name, size = 100) {
  let hashValue = 0;
  for(let i = 0; i < name.length; i++) {
    hash += name.charCode(i);
    return hash % size;
}

회고

이번 주차는 내용을 이해하기 바빠 미션을 수행하는데 있어 조금은 힘겨웠던 것 같다.

남은 시간 내용을 복습하며 제대로 이해하도록 해야할 것 같고 다음주는 좀 미리미리 준비해야할 것 같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