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프런 워밍업 클럽 스터디 3기 - CS 전공지식 (운영체제, 자료구조, 알고리즘) 회고
기본적인 cs지식을 찬찬히 배울 수 있어서 유익한 강의였다.
헷갈리던 스택과 큐는 그림으로 그려서 남기고...
자료구조와 알고리즘
스택 : 단순한 구조의 리스트 (FILO),
먼저 들어온 것이 나중에 나가는 구조
-> 들어갈때는 1 - 2 - 3 순서이지만, 나올때는 3 -2 -1 이다.
큐: FIFO, 먼저 들어간 것이 먼저 나옴
-> 들어간 순서 그대로 1 - 2- 3 이 나온다.
해시테이블: 해시와 테이블이 합쳐진 자료구조, key와 value가 짝을 이룬다.
운영체제
컴퓨터를 사용하면서도 어떻게 구성되는지 무슨 역할을 하는지에 대해 모르고 사용했던 것 같다.
운영체제의 간단한 역사를 알게 되었고, 컴퓨터의 구조에 대해 배울 수 있어서 유익했다.
코드만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서비스까지 고려한다면 컴퓨터의 운영체제에 대해 잘 알고 있어야 좋은 코드를 작성하고 효율적인 구성을 할 수 있겠다는 생각이 든다.
컴퓨터와 하드웨어의 구조
메인보드(CPU,메모리), 하드디스크, 그래픽카드, 출력단자(모니터), USB단자(마우스, 키보드), 스피커
오늘날은 대다수가 폰노이만 구조: CPU(중앙처리장치)와 메모리(RAM)을 두고 사이를 버스로 연결한다.
버스는 데이터를 전달해주는 통로이고, 메모리에 프로그램을 올려서 사용한다.
CPU구조: 산술논리연산장치, 제어장치, 레지스터
메모리 종류: RAM(전력이 끊기면 데이터 소실, 저장 위치 상관없이 읽는 속도 일정), ROM(한번 쓰면 수정 불가)
바이오스의 역할: CPU, RAM, 하드디스크, 키보드, 마우스, 전원, 하드디스크에 이상이 없는지 확인
부팅과정
-> ROM의 바이오스 실행 - 이상이 없다면 부트로더를 메모리로 가져와서 실행 - 운영체제 실행 - 모니터에 화면이 나옴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