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 클린코드/테스트코드 스터디] 4주차 회고
1개월 전
4주차 동안 무엇을 공부했는가?
목차
4주차 동안 학습한 목차는 다음과 같다.
Spring & JPA 기반 테스트
Mock을 마주하는 자세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
Appendix
각 목차 별 본인이 생각하는 중점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다.
Spring & JPA 기반 테스트
각 레이어별 어떻게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하는가
Mock을 마주하는 자세
Mock을 사용하는 방법 및 상황에 따른 Mock 사용
더 나은 테스트를 작성하기 위한 구체적 조언
테스트는 문서의 역할을 한다는 점을 생각하고 테스트를 작성하자
Appendix
학습 테스트를 통해 학습하는 방법
RestDocs를 사용한 테스트 코드로 API 작성 방법
미션
미션 5. 각 레이어의 특징과 테스트 작성 방법
미션 6. 공통되는 테스트 코드가 존재한다면, 이를 setUp으로 뺄 것인가
두 미션은 지금까지 공부한 내용을 정리하는 미션이었다.
따라서 따로 고민하며 무언가를 수행하지는 않았고, 나만의 테스트 작성의 기준점을 세우는 시간이었다.
4주차 이후, 생각..
한 달 이라는 시간이 정말 빠르게 지나갔다고 생각한다.
단순히 클린코드, 테스트 코드가 아닌 컨벤션, 다양한 방법중 단점이 적은 방법 등.. 핵심적인 내용들이 강의의 위주였다고 생각한다.
해당 스터디를 진행하면서 개인 프로젝트에 리팩토링,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였는데 많이 도움이 되었던 것 같다.
아직 개인 프로젝트에 적용할 사항들이 많은데, 어려움을 느낄 때 마다 다시 강의를 보면서 진행하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