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프런 워밍업 클럽 0기] BE 1주차 발자국
1주차 발자국
강의
1 - 1. 서버 개발을 위한 환경 설정 및 네트워크 기초
해당 강의를 들으며 앞으로 사용하게될 프로그램 설치 및 환경설정을 다루는 단계입니다.
1 - 2. 첫 HTTP API 개발
앞서 설치한 POST MAN에 GET, POST 같은 형태로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잘 작동하는지 배우며 실습해보는 단계입니다.
1 - 3. 기본적인 데이터베이스 사용법
이전에는 POST MAN으로 localhost에 데이터를 주고 받았다면, 이제는 MySQL에서 테이블을 설계해보고 데이터 값들을 추가해보는 등 여러 시도를 해보는 단계입니다.
1 - 4.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해 만드는 API
앞 단계에서 배웠던 부분에 더 해서 데이터를 수정해보고, 삭제해보는데 만약 데이터가 없다면을 가정하여 예외처리 도 배워보는 시간입니다.
1 - 5. 클린코드의 개념과 첫 리팩토링
이제 코드들을 더 간결하며 확장성 있게 개선시킬 수 있는 방법을 시도해보는 단계입니다.
강의 회고
강의 구성이나 미션의 주제가 정말 좋았고 오랜만에 옛 기억을 떠올리며 다시 배우면서 나름 열심히 하려했지만 병행하고 있는 공부가 있어서 생각보다 깊이 있게 공부하지 못해서 아쉬웠습니다. 다음주에 시간을 더 할애하여 더 많이 찾아서 공부해봐야 겠습니다.
미션
1 - 1. 어노테이션을 사용하는 이유(효과)와 나만의 어노테이션은 어떻게 만들 수 있을까를 알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아무래도 공식사이트가 정확한 정보를 줄것 같아서 oracle에서 1차적으로 찾아보고, 인터넷 게시글 등을 참고하여 추가로 작성하였습니다.
1 - 2. 세 가지 연산결과를 반환해주는 GET API, 날짜를 입력하면 무슨 요일인지 알려주는 GET API, 여러 수를 리스트로 받아서 그 합을 반환하는 POST API에 해당하는 세 가지 문제를 풀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반환해주는 부분에 연산하는 부분을 넣어서 해결하였고, 날짜를 알려주는 부분에서는 데이터 에러가나서 데이터 포멧을 사용하여 해결하였고, 여러수를 합해서 반환하는 부분은 sum을 사용하여 해결하였습니다.
1 - 3. 자바의 람다식은 왜 등장 하였고, 람다식과 익명 클래스는 어떤 관계인지, 람다식의 문법은 어떻게 될지 찾아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정확한 정보를 위해 oracle 사이트를 1차적으로 참고하고, 다른 인터넷 사이트들을 검색하여 내용을 채웠습니다.
1 - 4. 과일 정보를 저장하는 POST API, 판매된 과일 정보를 체크하는 PUT API, 현재 재고에서 판매된 금액과 판매되지 않은 물품의 금액을 합해서 각각 반환하는 GET API의 세 문제를 풀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정보를 저장하는 부분에서는 강의내용을 참고하여 해결하였고, 판매 체크하는 부분에서는 새로운 컬럼을 불린으로 만들어서 0, 1로 체크하였고, 판매완료된 과일과 미판매 과일의 합은 쿼리문 단계에서 sum을 사용하여 해결하였습니다.
1 - 5. 주어진 코드를 클린코드로 개선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숫자를 대입하는 변수부분은 각 인덱스와 값을 참고해서 연산하려고 배열을, 주사위를 굴리는 부분과 변수에 값을 추가하는 부분, 문자를 출력하는 부분은 반복문으로 처리해서 해결하였습니다.
미션 회고
주어진 미션은 해결하였지만, 더 좋은 방법이 있다는 것은 알고있기에 더 좋은 방법을 찾아봐서 개선해보는 시도를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점점 더 좋은 형태를 계속해서 추구하다보면 분명 충분히 좋아지리라 믿습니다.
댓글을 작성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