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딱 8일간! 인프런x토스x허먼밀러 역대급 혜택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4기 데브옵스 - 4주차 발자국

인프런 워밍업 스터디 클럽 4기 데브옵스 - 4주차 발자국

4주차 요약 정리

 

섹션 18. Helm과 Kustomize 비교하며 사용하기

Helm

  • 템플릿 기반 배포 도구로, values.yaml을 통해 반복되는 설정을 효율적으로 관리.

  • helm install, upgrade, rollback 등으로 배포 전 과정을 CLI로 관리.

  • 디렉토리 구조(charts, templates, values.yaml)를 이해하고, 복잡한 애플리케이션의 배포를 간결하게 처리 가능.

Kustomize

  • 오버레이 방식의 선언적 구성 도구로, 리소스를 직접 수정하지 않고 환경별 분리를 가능하게 함.

  • base와 overlay 구조를 활용해 운영/개발 환경에 따라 다른 설정을 적용할 수 있어 유지보수에 유리.

비교 및 활용

  • Helm은 복잡한 구조, 패키징 중심에 유리하며, Kustomize는 간단한 환경 분리와 선언적 구성에 적합.

  • YAML 중복, 설정 분리, 관리 효율성을 고려해 실제 파이프라인 설계 시 도구 선택 기준을 학습함.

 

섹션 19. ArgoCD 빠르게 레벨업 하기

ArgoCD 개요

  • GitOps 철학 기반의 배포 도구로, Git 저장소의 상태를 기준으로 Kubernetes 클러스터와 동기화.

  • 애플리케이션 상태를 UI 또는 CLI에서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관리 가능.

주요 구성 요소

  • Server: Web UI 및 CLI API 제공

  • Repo Server: Git 저장소로부터 manifest 불러오기

  • Application Controller: Desired vs Live 상태 비교 후 동기화

  • Kube API: Kubernetes 리소스와 통신

  • Redis: 상태 캐싱

  • Dex: SSO 등 외부 인증 연동

실습 포인트

  • Application 리소스를 정의해 Git과 쿠버네티스를 연결하고, 자동 배포 구성

  • Argo Image Updater를 활용해 Docker 이미지 태그 변경 시 자동으로 Sync 수행

  • Argo Rollouts로 Blue-Green, Canary 배포 전략 실습 → 트래픽을 점진적으로 전환하며 안정성 확보

활용 및 이해

  • 수동 배포 없이 Git 상태만으로 자동 배포 관리 가능

  • 상태 기반 배포 시스템의 장점: 추적 가능성, 자동 롤백, 변경 이력 관리


🌱 발자국 4주차 회고

 

💡 배운 점

  • Helm과 Kustomize의 철학과 구조적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고, 어떤 상황에 어떤 도구가 적합한지 판단할 기준을 마련함

  • ArgoCD를 통해 GitOps 방식의 배포를 실현하고, Rollouts와 Image Updater를 통한 자동화와 고급 배포 전략을 경험함

 

🙆‍♂ 잘한 점

  • Helm과 Kustomize의 구조 및 설정을 실습하며 실제 프로젝트 적용 가능성을 높임

  • ArgoCD의 구성요소와 배포 흐름을 이해하며 도구 간 연동 방식을 익힘

 

아쉬운 점

  • Helm/Kustomize의 고급 기능(예: 조건 분기, hooks 등)을 더 실습하지 못한 점

  • Rollouts에서 트래픽 조정, 자동 중단 조건 등 실전 적용 요소를 더 경험해보지 못한 점

 

🎯 다음 목표

  • 실제 업무 환경에 도입할 수 있는 배포 전략을 시뮬레이션 해보기.

 

한마디

도구는 단지 수단일 뿐,
중요한 건 무엇을 위해, 어떻게 사용할 것인지에 대한 것을 많이 배운 시간이었습니다.

4주라는 것이 길다면 길고 짧다면 짧은 시간이지만 의미있는 시간이었길 바랍니다.

이제 도구들을 사용하는 방법을 알게 되었으니, 내가 어떻게 만들고 어떻게 적용해나갈지 끈임없이 고민해보겠습니다.

그동안 너무 감사했습니다. ㅎㅎ 다들 고생 많으셨어요.

댓글을 작성해보세요.

채널톡 아이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