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밍업 클럽 4기 백엔드] Day18 미션](https://cdn.inflearn.com/public/files/blogs/1fe10f17-6485-4ca9-b937-e2458eea520b/워밍업 클럽 이미지.png)
[워밍업 클럽 4기 백엔드] Day18 미션
📖미션
1.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를 한번 정리해 봅시다.
2. 아래 3개의 테스트가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고, 각 항목을 @BeforeEach, given절, when절에 배치한다면 어떻게 배치하고 싶으신가요?
(@BeforeEach에 올라간 내용은 공통 항목으로 합칠 수 있습니다. ex. 1-1과 2-1을 하나로 합쳐서 @BeforeEach에 배치)
📄첫 번째 미션
@Mock, @MockBean, @Spy, @SpyBean, @InjectMocks 의 차이를 한번 정리해 봅시다.
차이점
@Mock
@Mock
private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완전한 가짜 객체로 만듭니다.
동작을 정의해놓은 메서드만 수행됩니다.
@Spy
@Spy
private MailSendHistoryRepository mailSendHistoryRepository;
실제 객체를 한 번 감싸서 가짜 객체로 만듭니다.
동작을 정의해놓은 메서드는 정의대로 수행되지만
그렇지 않은 메서드는 실제 객체의 행동을 수행합니다.
@InjectMocks
@Mock
private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Spy
private MailSendHistoryRepository mailSendHistoryRepository;
@InjectMocks
private MailService mailService;
@Mock이나 @Spy로 가짜 객체를 만들었다면
이 가짜 객체를 필드에 주입해 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C c = new C(A, B)인데
A와 B를 가짜 객체로 만들었다면
C에 @InjectMocks를 붙여서 A와 B를 필드로 갖는 가짜 객체를 만들 수 있습니다.
@MockBean
@MockitoBean
private OrderService orderService;
기존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있던 빈을
가짜 빈으로 바꿔줍니다.
예를 들어, OrderRepository가 실제 빈으로 등록되어있었다면
@SpringBootTest에선 가짜 OrderRepoistory 빈으로 바꿔치기 해주는 식
@SpyBean
@MockitoSpyBean
private ProductService productService;
마찬가지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어 있는 빈을
가짠 빈으로 바꿔줍니다.
이 때, 실제 빈을 한 번 감싸서 가짜 빈을 만들어줍니다.
Spring Boot 3.4 부터 @MockBean과 @SpyBean이 deprecated 처리되었으며
Spring Boot 4.0부터 삭제 될 예정이라고 합니다.
대신 @MockitoBean과 @MockitoSpyBean을 사용하라고 명시되어있습니다. 🫡
📄두 번째 미션
아래 3개의 테스트가 있습니다.
내용을 살펴보고, 각 항목을 @BeforeEach, given절, when절에 배치한다면 어떻게 배치하고 싶으신가요?
(@BeforeEach에 올라간 내용은 공통 항목으로 합칠 수 있습니다. ex. 1-1과 2-1을 하나로 합쳐서 @BeforeEach에 배치)
중복 제거를 우선 시 할 경우
@BeforeEach
void setUp() {
1-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 사용자 생성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4. 게시물 생성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4. 게시물 생성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5.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6.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검증
}
가독성을 우선 시 할 경우
@BeforeEach
void setUp() {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작성할 수 있다.")
@Test
void writeComment() {
// given
1-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2. 사용자 생성
1-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1-4. 게시물 생성
1-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 when
1-6. 댓글 생성
// then
검증
}
@DisplayName("사용자가 댓글을 수정할 수 있다.")
@Test
void updateComment() {
// given
2-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2. 사용자 생성
2-3.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4. 게시물 생성
2-5.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2-6. 댓글 생성
// when
2-7. 댓글 수정
// then
검증
}
@DisplayName("자신이 작성한 댓글이 아니면 수정할 수 없다.")
@Test
void cannotUpdateCommentWhenUserIsNotWriter() {
// given
3-1. 사용자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2. 사용자 생성
3-3. 사용자2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4. 사용자2 생성
3-5.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6. 사용자1의 게시물 생성
3-7. 사용자1의 댓글 생성에 필요한 내용 준비
3-8. 사용자1의 댓글 생성
// when
3-9. 사용자2가 사용자1의 댓글 수정 시도
// then
검증
}
미션 후기
@Mock과 @Spy의 차이점에 대해 더 상세히 인지할 수 있었습니다.
가독성과 코드 중복 제거 관점에서 setUp을 사용하는 게 좋을 지 아닐지 고민할 수 있었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강의
댓글을 작성해보세요.